참여광장

토론게시판

상세
북한의 학위와 남한의 학위 ...
United States Tovarish 0 869 2012-04-02 09:59:04

북한의 학위시스템을 남한에 그냥 껴맞추는 것이 조금 맞지 않을 듯 하네요.

 

(제가 조명철이라는 분을 defense 할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제 생각에는 그냥 학위란에 북한식으로 준박사 라고 썼으면 좋았을 걸 하는 바램이었습니다.)

 

남한은 미국식 학위시스템과 비슷해서,

 

학부 4년 마치면 학사, 2년 대학원 마치면 석사, 그후 5년이면 박사 요즘 석박 통합으로 5년에 박사하는 시스템도 있던데요.

 

북한은 구 소련의 학위시스템과 많이 유사한듯 합니다.

 

북한에는 박사학위 위에 원사(Академик)라는 학직이 있습니다. 매 분야에 최고의 권위자 한명이 있지요. 물론 어떤 분야에는 원사가 될 만한 실력을 갖춘 사람이 없으면 원사가 없는 분야도 많지요.

 

구소련에도 원사가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원사로는 노벨상 수상자들인 란다우, 까삐짜 같은 분들이었죠.

 

제가 북에서 대학 다닐 때 구소련의 책을  번역해서 사용하던가, 혹은 구소련의 원문 그대로 사용할 때도 있었습니다.

 

학문쪽은 아마도 러시아 시스템과 많이 유사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아래에 러시아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서 인터넷에서 찾은 글을 올려봅니다.

 

=================================================================================

러시아의 교육 시스템

. 탁아교육

취학 전 교육기관으로 유치원이 있으며, 7세 이하의 아동은 부모가 원할 경우 지역 내 유치원에 언제나 입학이 가능.

-> 특이사항 : 초등학교 1 학년 과정 수료도 가능

. 초·중·고등학교(쉬콜라)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보통 10년을 포괄하는 과정

1. 초·중등과정 (의무교육기간)

: 1~8학년 기간, 그러나 7년간만 교육을 받아도 됨

즉, 초등학교 4년과 중학교 4년까지는 동일한 교육을 받게됨.

: 취학 시기 : 6∼7세

2. 고등학교 과정(9,10학년)

의무교육기간 8년이 끝난 후 선택

1) 일반 고등학교과정(9,10학년 과정)을 계속하거나,

2) 일반 학과이외 특정 분야의 기술교육을 병행하는 3~4년 과정인 기술학교(쩨흐니쿰)로 진학. 대체로 쩨흐니쿰 졸업은 일반 고등학교 졸업에 비해 선호됨.

3) 그밖에 재능이 우수한 학생이나 박약아 또는 신체장애자를 위한 특수학교와 군사학교가 있음. 재능이 우수한 학생을 교육하는 일종의 영재학교는 명성이 높아 우수한 상급학교 진학률이 높음.

. 대학 및 대학원 교육

1. 대학과정 : 종합 대학과 단과 대학으로 구분

1) 종합 대학 : 모스크바 등 보통 대도시마다 1개씩 소재.

2) 단과 대학 : 교육, 농학, 공학, 국제 관계 분야 등 전문 분야별로 설립되어 있으며 미술 아카데미, 음악 콘소바토리 등도 있음.

: 대학별로 전문화 특성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종합 대학과 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과 대학은 종합 대학보다 더 특성화되어 있는 곳도 있음.

-> 고등학교 과정(쩨흐니쿰 포함) 이수 후 진학하게 됨.

-> 정부에서 입학정원을 통제하고 있어 학과에 따라서는 치열한 입시 경쟁을 치러야 함

-> 수업연한 : 5년간이 원칙이나 서구와의 학제 차이를 감안하여 4년제/2년제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5년제 이상 대학과정 이수 시 국내의 석사학위에 해당됨.

2. 대학원 과정 :

-> 러시아의 학제에는 대학과 대학원 과정이 별도로 구별되어 있지 않음.

-> 5~6년제 대학과정 이수하면 국내에서는 석사로 인정

-> 최근에는 서구의 4/2제로 도입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음.

-> 5~6년제 대학과정 이수 후 “아스피란트” 과정에 입학(국내의 대학원 과정과 유사함)

: 종합 대학이나 단과 대학에서 수강

: 주로 개인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므로 독자적으로 연구 계획을 세워 공부해야 함.

: 과정 이수 기간은 보통 3 ~ 4년이 소요

: 종합시험을 치르고 논문을 통과하면 “칸디다트”학위( Ph. D)가 수여됨.

: 칸디다트 이후의 학위는 “독토르”(Doctor)학위로서 우리의 경우 Post-Doc 과정에 해당되며 오랜 기간 직장에서의 연구 성과와 전문 활동을 거친 후 대개 40세 이후에 수여 받게 됨.

출처 : http://blog.naver.com/rubrain?Redirect=Log&logNo=110013328541

 

================================================================================

윗 글에 보면 러시아에서는 5년제 대학만 졸업하면 한국의 석사학위에 해당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하네요.

 

북한도 보통 대학은 5년제 이상입니다. 4년제는 보통 단과대학(한국에서 전문대학)에 해당하지요.

 

그리고 박사원(어떤 곳은 그냥 연구원과정, 러시아식으로 아스삐란뜨과정)과정을 마치면 한국에서 말하는 Ph.D.(박사과정)과 비슷하고 그후에 받는 독또르를 한국의 닥터(Ph.D)가 아니라 포스닥(Postdoc)과정을 마친것과 비슷한 듯 합니다.

 

물론 커리큘럼이나 수준상의 문제는 저도 북한에서 연구원과정까지 공부해보지 못해서 비교할 수는 없네요.

 

혹시 북에서 연구원과정을 공부해보신 분들이 부연설명 해주셨으면 합니다. 저도 궁금하네요.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 hahaland ip1 2012-04-02 10:19:44
    선관위에 제출한 이력서가 법적으로 하자가 없는데 이력서에 구태여 준 박사 박사를 구분 할 필요가 있나요 ?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 hahaland ip1 2012-04-02 10:21:59
    외부 세계에서는 석사와 박사의 대우가 다르지만 북한 사회 에서는 준 박사와 박사의 대우가 동급에 해당 한 다면 외부 세계의 기준으로나 북한 사회의 기준 에서 볼 때에도 박사가 맞지 않나요 ?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 Tovarish ip2 2012-04-02 10:32:38
    북한에서도 박사와 준박사 대우가 다릅니다. 이전에 공급대상에서 박사는 2호대상, 준박사는 3호대상이었습니다.
    러시아의 시스템으로 대학교졸업 = 한국의 석사, 준박사(깐지다뜨) = 한국의 박사, 박사(독또르) = 한국의 포스트닥,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 hahaland ip1 2012-04-02 10:43:57
    안기부에서 박사급에 해당 한 다고 했다면 조 후보를 탓 할 수 있나요 ?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 끄응 ip3 2012-04-02 13:28:41

    - 끄응님에 의해 삭제되었습니다. 2012-04-02 13:29:17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 끄응 ip3 2012-04-02 13:29:10
    5년제 이상 대학에서 졸업시 석사 대우 받는 경우는 여러 나라에서 심심찮게 본 것 같습니다.
    북한 김대가 저런 경우에 해당된다면 준박사는 한국의 박사가 맞다고 봄.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노루면노루 ip4 2012-04-03 05:34:04
    어차피 북한학력 한국에서는 법적효력을 못가집니다. 새출발이예요. 사단장이 노루라면 노루가 되는거예요. 중요한것은 정부나 우리 탈북자들인 조명철후보를 인정하고 지지한다는것입니다. 왈가왈부할게 있나요? 참 답답하네요.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방울코 ip5 2012-04-13 23:18:05
    한마디로 언급하면 북한은 사상의 박사 남한은 진정한 과학의 박사 그럼 그림이나오죠
    북한에 박사는개뿔 북한에서는 김일성의 혁명 사상이 곳박사학위임니다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나부터 가슴에 새겨야 할 교훈
다음글
국정원이 만들어준 박사, 통일부는 통일교육원장으로 모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