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자유게시판

상세
<고급> (한반도의 근현대사 역사) 시리즈 03편..
Korea, Republic of 돌통 0 302 2020-10-25 16:35:44

***  이 글의 내용은 고급수준이므로 전문가 및 전반적으로 기초지식이 있는 분들이 읽기를 권합니다.

 

 

 

03편.

 

 

 

 

그러나 세계대전의 발발로 ‘제2러일전쟁’에 대한 기대가 사라짐으로써 이
계획은 물거품이 되었다. 대한광복군정부 안의 복벽주의와 공화주의를 둘러
싼 이념적 갈등, 출신지역에 따른 파쟁도 급격한 정세변동기에 독립전쟁을
지휘할 사령부로 출범한 대한광복군정부의 효과적 운용을 어렵게 만들었다.
세계대전의 발발은 한국민족운동에 ‘외교독립노선’을 정립시켰다. 1914년 권
업회와 대한광복군정부의 해산으로 중국 상해에 집결한 민족운동자들은 일본
의 참전으로 독일의 승전과 중?독 연합에 의한 對日開戰(대일개전)을 전망하면서 전쟁
을 국권회복의 기회로 판단했다.

 

 

이들은 상해에서 신한혁명당을 결성하고 광
무황제(고종)를 당수로 추대, 대한제국의 망명정부 수립을 추진했다. 이들의 구
상은 독일정부의 보증하에 중국과 한국 망명정부 사이에 군사동맹을 체결함으
로써 독립전쟁에 대비한다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무위로 끝났지만 대한광복
군정부가 와해된 뒤 세계대전의 발발을 계기로 정세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
여 독립전쟁론에 외교노선을 접목시킨 사례로 주목된다.(참고)<李賢周(이현주),〈1910년대 국제정세와 정부수립운동〉(《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80주년
기념논문집》상, 국가보훈처, 1999), 89쪽.>

 

 


신한혁명당이 추진한 망명정부 수립의 실패는 세계정세에 대한 오판과 복
벽주의와 공화주의 등 조직 내부의 정치?사상적 갈등 때문이었다. 이런 가
운데 미국의 참전으로 전선이 확대되고 신한혁명당의 붕괴로 국외 독립운동
의 구심이 사라지자 국면의 전환이 필요했다. 1917년 7월 상해에서 14명의
명의로 발표된〈대동단결선언〉은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것이었다.〈대동단결
선언〉은 단결의 필요성, 국내동포의 참상, 해외동포의 역할, 선언 당시의 국
제환경, 대동단결에의 호소, 그리고 ‘提議(제의)의 강령’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참고)

<〈大同團結宣言〉(대동단결선언)은 독립기념관에 기증된 도산 안창호의 유품과 문서에서 나온
자료로 원문이《韓國學論叢》(한국학논총) (국민대 한국학연구소, 1987) 끝에 영인, 수록되
었다.> 

 

 

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권불멸론에 의한 국민주권설을 제창했다. 주권은 민족 고유의 것이
므로 대내적으로 융희황제가 주권을 포기한 것은 국민에게 이를 讓與(양여)한 것

 으로 인식했다.

 

둘째 주권상속의 방법으로 “국가상속의 대의를 선포하여 해
외동지의 총단결을 주장하며 국가적 행동의 進級的(진급적)활동을 표방”했다.

 

셋째 세계 피압박 민족운동이 고조됨을 예시하면서 당시의 국제정세를 “吾人(오인)의
유기적 통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유리한 조건이라고 판단, 세계여론을 환기
할 것을 주장했다.

 

 


〈대동단결선언〉은 임시정부의 수립과 이를 위한 민족대동의 회의를 제창
한 것으로 요약된다.**(참고)<조동걸,〈림시정부수립(臨時政府樹立)을 위한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한국학논총(韓國學論叢)》9, 국
민대 한국학연구소, 1987), 131쪽.>

 

 

이들은 공화주의에 입각하여 주권불멸론에 의한 국민
주권설을 제창하고 대한제국 황제가 포기한 주권을 상속하기 위해 임시정부
를 수립할 것을 주장했다. 이를 위해 국외 독립운동 단체나 개인으로 민족대
회의를 소집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따라서〈대동단결선언〉의 임시정부 수립
론은 1910년대 이래 제기된 임시정부 수립론이 결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대동단결선언〉은 주도 인물들이 국외 각지에 흩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
이념이 당장에 구현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전쟁 중에 국외 민족운동자들이
국제정세의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공화정체의 국민국가를 건설하고자
기도했던 노력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2년 뒤에 3?1운동을 계기로 국내외 각
지에서 임시정부 수립운동이 일어나는 것도 1910년대 초 ‘한일합방’ 직후부
터 시작되어 이념적으로는 1917년에 이르러 국민주권론에 의거, 공화정을 표
방하는〈대동단결선언〉의 토대 위에서 가능했기 때문이다.

 

 


***  임시정부의 수립과 통합

 


**  ‘국민대회’와 국내 정부수립운동

 


*  ‘국민대회’와 한성정부의 선포

 

 


3?1운동 뒤 국내에서 전개된 임시정부 수립운동은 향후 민족운동을 이끌
어 갈 영도기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민족 구성원의 합의라는 절차가 중시
되었다. 이런 점에서 국민대회는 합의의 절차로 간주되었다. 즉 국민대회가

 갖추어야 할 요건은 국내를 기초로 13도 ‘국민대표’로 조직되어야 하며, 임시
정부의 정치형태는 민주공화정이어야 한다는 것 등이었다.**(참고)<《조선독립신문

(朝鮮獨立新聞)》제2호(국사편찬위원회편(國史編纂委員會編),《한국독립운동사

(韓國獨立運動史)》자료(資料)5:3?1운동편(運動編),
정음문화사(
正音文化社), 1968), 2쪽.
이현주(
李賢周),〈3?1운동 직후 ‘국민대회(國民大會)’와 임시정부 수립운동〉

(《한국근현대사연구》6, 한울, 1997), 114쪽.>

 

 


국민대회를 통해 임시정부를 수립하려는 계획은 3월초부터 李奎甲(이규갑)

?洪冕禧(홍명희)(洪震)(홍진)?韓南洙(한남수)?金思國(금사국)등에 의해 비밀리에 추진되었다.

여기에는 申泰鍊(신태련)(申肅)(신숙)?安商悳(안상덕)등 천도교 측의 인물들도 개입하고 있었다.

**(참고)<이규갑(李奎甲),〈한성림시정부수립(漢城臨時政府樹立)의 전말(顚末)〉(《신동아(新東亞)》1969년 4월호, 동아일보사), 176쪽.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한남수?김사국에 대한 신문조서〉(《독립운동사자료집》
5:3?1운동재판기록, 1975), 78쪽.
신숙(
申肅),《나의 일생(一生)》(일신사(日新社), 1963), 50쪽.>

 

 


이들은 ‘비밀독립운동본부’를 조직하고 임시정부 수립과 국민대회 개최를
위한 준비위원회를 구성했다. 3월 17일에는 현직검사 韓聖五(한성오)의 집에서 준비
위원 회의를 개최하여 “13도 대표자회의를 4월 2일 인천 만국공원에서 열고,
임시정부를 수립하여 이를 국민에게 공포할 것”을 결의했다. 회합에는 위의
4명 외에도 이교헌?윤이병?윤용주?최전구?이용규?김규?이민태?閔?(민)
등 준비위원 거의 전원이 참석해〈국민대회 취지서〉와〈임시정부 약법〉등
을 작성하고 임시정부 각원, 평정관, 파리강화회의에 출석할 국민대표 명단
을 확정했다.

**(참고)<이규갑(李奎甲), 위의 글, 176쪽.
〈국민대회취지서〉의 내용은《이화장소장 우남 이승만문서》4(연세대 현대한국
학연구소, 1998), 26~27쪽.>

 


그러나 인천 만국공원에서 열린 13도 대표자회의는 성원 미달로 국민대회
를 준비하는 회합에 머물렀다. 여기서 참석자들은 “국민대회를 조직하고 假
政府(가정부)를 만들어 파리강화회의 및 각국에 조선독립의 승인을 요구할 것”을 결
정했다.**(참고)<〈한남수 및 안상덕 신문조서〉(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독립운동사자료집》5),
138~139쪽.>

 

 


국민대회의 실행은 김사국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

 

 

    이상..        04편에서 계속~~

 

 

7PAGE 하단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고급》 (한반도의 근현대사 역사) 시리즈. 02편
다음글
김정은식 반성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