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착지원

정착지원도우미

상세
[하나교실1기]말하기강좌 2회 - KBS 조미경 리포터
Korea Republic of 관리자 0 1036 2009-05-07 20:21:33
안녕하세요. 이수민입니다. 지난주 말하기강좌 2회 강의내용을 올려드립니다.



* 강사 : KBS 한민족방송 조미경 리포터
* 일시 : 2009.5.2 10:00~12:30
* 참가신청 : 바로가기
* 말하기강좌 1회 : 바로가기



■ 몸풀기 (강사님의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서 한의원에 갔는데 추천해주심, 효과적)

① 두 손을 깍지 끼고 머리 뒤에 대고 고개를 앞뒤로 반복한다.
② 왼쪽, 오른쪽 반복한다.
③ 두 손을 턱에 대고 고개를 앞뒤로 반복한다.
④ 왼쪽 팔을 올리고 오른 팔을 직각이 된 왼팔에 끼우고 몸을 왼쪽으로 한다. (같은 방법으로 오른쪽도 반복)
⑤ 두 팔을 위로 뻗어서 깍지 끼고 왼쪽, 오른쪽 반복한다. (옆구리 운동)


■ 발성연습

- 배꼽 밑에 두 손을 모아서 대고, 턱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아~' 한다.
배에서 끌어내는 안정된 소리임. 목으로 소리를 내면 금방 목이 아프다. 배로 소리 내어야 한다.

코로 숨을 들이쉰다. (호흡이 배꼽 아래로 들어가도록~) 이 때, 가슴이 움직이면 숨이 폐로 들어간 것이다. 심호흡을 크게 하고 중간에 숨을 쉬지 말아야 한다.

입을 크게 벌리고 목소리를 크게 낸다. (치과에서 치료받을 때 '아~' 하고 크게 벌리는 것처럼)

복식호흡 발성연습을 해야 말하기 연습에 효과적이다.

목소리를 길게 낸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길게 하는 것보다 제대로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 자음·모음 개별발음 연습 (국립국어원에서 얻은 자료라서 정확함)

① 자음

기윽 -> 기역, 디읃 -> 디귿, 시읏 -> 시옷 이 3개는 남북이 다르게 사용하므로 명심해야함.

1) ㄱ [기역] - 'ㅕ' 발음때문에 발음하기 힘들다.
역 vs 욕 - '이역' 하지 말고, 정확하게 한 단어로 '역' 발음을 하도록 연습한다.
예) 기차역, 송파역

2) ㄴ [니은] - 앞의 자음자가 뒤의 받침으로 온다. (모든 자음 발음에 똑같이 적용)

3) ㄷ [디귿] - 북쪽에서 [디읃] 이라고 배웠어도, [디귿] 으로 써야 하고
발음할 때는 비슷하므로 [디긋], [디귿] 아무렇게나 해도 상관없다.

4) ㄹ [리을] - 읽을 때 억양이 있어서 사투리처럼 들리는 것이다. 억양 없이 그냥 발음하도록!

5) ㅁ [미음] - 비교적 발음 다들 잘하셨음.

6) ㅂ [비읍] - 서울말(표준말, 표준어)은 그냥 자연스럽게 발음 나는 대로 하면 된다.
예) 참여[참여] (X) ; 사투리 → 참여[차며] (O) ; 표준어

7) ㅅ [시옷]
'ㅅ' 의 발음을 [sh] 발음으로 많이해서 사투리같은 지저분한 발음의 느낌을 준다.
'ㅅ' 발음을 'ㅊ' 으로도 많이 낸다. 교정해야 한다.
입을 옆으로 벌리고 '시이[시이]' 라고 하면서 발음한다.
'ㅅ' 발음은 혀가 입천장에 닿으면 안된다.
말하기는 수시로 꾸준하게 연습해야 효과가 있다. 몇 번 하고 안하면 효과가 없다.

8) ㅇ [이응] - 말하기를 따라할 때, 아랫배에 힘을 주고 한다.
아랫배에 힘을 주고 하면 말의 톤이 안정되고 목소리에 힘이 들어가서 좋다.
('ㅇ[이응]'뿐만 아니라 모든 말하기를 할 때 아랫배에 힘을 주고 자신감 있게 한다.)

9) ㅈ [지읒]

10) ㅊ [치읓] - 자음 발음중에서 가장 힘들다!!
; 북한에서 오신 분들은 대부분 'ㅊ' 발음을 굉장히 잘하신다. 그래서 문제되지 않는다.
; 하지만 'ㅅ' 발음과 구별해서 발음 연습이 필요하다.

11) ㅋ [키읔]
12) ㅌ [티읕]
13) ㅍ [피읖]
14) ㅎ [히읗]


☆ 중요한 곳에 포인트를 주면서 자연스럽게 발음한다.

예) " XX야~ 너 지금 어디야 ? " , " 옷(강조) 사러 왔어. "
↑ '옷' 에 자연스럽게 강조. 이 때, '사러 왔어' 에 강조한다면 억양으로 인해 사투리가 된다.

② 모음

1) ㅏ [아]
2) ㅑ [야]

3) ㅓ [어] - 입을 벌린 상태에서 혀의 움직임이 없어여 한다.
'ㅗ' 와 'ㅓ' 의 중간발음을 내는 사람들이 많다. (잘못된 발음)
턱을 당기고 아랫배에 힘을 주고 발음한다.

☆ 말을 바꾸는 건 쉽지 않다. 몇 십 년 동안 써오던 것을 하루아침에 쉽게 바꿀 수 없다.
꾸준한 연습만이 가능하다. 강사님도 영어를 학생 때부터 배웠어도 발음이 잘 안되신다. 마찬가지!

4) ㅕ [여] - 입을 밑으로 벌리지 않고 발음한다. 입을 모아서 뱉지 말고, 한 번에 바로 뱉는다.
' 이어[ㅣㅓ] ' 로 발음하지 말고, ' 여[ㅕ] ' 로 발음한다.

5) ㅗ [오]

6) ㅛ [요] - 남쪽에서는 '료리'를 '요리'로, '리순신'을 '이순신'으로 발음하고 표기한다.
단어 중간에 'ㄹ' 이 있으면 'ㄹ' 로 표기하지만, 맨 앞으로 오면 'ㅇ'으로 변한다.
'류'씨의 성도 점점 사라지고 '유'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 언어의 사회성 - 세월이 지남에 따라 발음하기 편하도록 말이 바뀐다.

7) ㅜ [우]
8) ㅠ [유]
9) ㅡ [으]
10)ㅣ[이]

③ 복합 모음

1) ㅐ [애] - 예) 애엄마
2) ㅒ [얘] - 예) 에어컨
3) ㅔ [에]
4) ㅖ [예]
5) ㅘ [와]
6) ㅙ [왜]
7) ㅚ [외]
8) ㅝ [워]
9) ㅞ [웨]
10) ㅟ [위]
11) ㅢ [의]

☆ 여러분들의 가장 큰 발음상의 문제는,

① 'ㅅ[시옷]' 발음과 ② 'ㅓ[어]' 와 'ㅗ[오]' 발음과 ③ 'ㅕ[여]'와 'ㅛ[요]'발음이다.
이것들은 제외한 다른 발음들은 대체로 다 잘되는 편이다.

☆ '영' vs '용' - '영' 발음이 잘 안되면 [여엉]으로 발음한다.

☆ 말에는 장단음이 있는데, 요즘에는 방송에서도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여 그냥 발음한다.
예) '장단음' 이라는 단어도 장단음에 맞춰서 발음하면 '장(길게 발음)단음'으로 발음해야 한다.

☆ 1 2 3 4 5 6 7 8 9. 길게 발음하는 숫자는 '2, 4, 5' 이다.
방송하는 아나운서, 리포터들의 말을 잘 들어보면 숫자 '2, 4, 5' 는 길게 발음한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그냥 발음한다.


■ 입에 볼펜 물고 말하기 연습

- 볼펜을 어금니까지 꽉 물고 해야한다. 이 때, 혀의 위치는 상관없다.
얼굴 안면근육이 모두 움직일 정도로 크게 해야 효과적이다.
이런 방법으로 연습하고 볼펜을 빼고 말하면 훨씬 수월하게 잘된다.
안면이 욱신욱신해야 한다. 얼굴(볼)이 다 풀려야 한다. 입만 왔다갔다하면 소용없다.

☆ 사설 中 '상승등의' 발음을 할 때 → [상승 등의] (X) / [상승 등에] (O) 로 해야 한다.
'의' 발음이 앞에 오면 [의]로 발음하지만, 뒤에 오면 [에]로 자연스럽게 발음한다.

☆ 읽기·말하기 잘하는 방법 - '끊어 읽기' 를 잘해야 된다.

강사님도 처음에는 잘 안됐다. PD(피디)님들이 빠르다고 자주 지적해주셨다. 2~3년차 되니까 본인 스스로가 말의 속도를 인지하고 조절이 가능해졌다. 내가 느리다고 생각하고 느리게 말해도 듣는사람은 대부분 느리게 느끼지 않는다. 그러니까 본인이 생각하기에 약간은 느리게 발음해도 상관없다. 급하게 말하지 말자.

☆ 끊어 읽기를 잘못했을 때 생기는 오류 - 예)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셨어.(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셨어.)

☆ 말을 강조하고 싶을 때, 끊어 읽기를 한다.
예1) 오늘 행사장에 시민 교수, 대통령이 왔다. - 한 번 끊어줌으로써, 뒤의 대통령을 강조.
한 번 쉬면서 끊어가는 것이 평소에 말할 때도 세련되어 보이고 자연스러워 보인다.

예2) 오늘 학교에 안갔어. - '안'에 포인트(강조)를 주면 의사표현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예3) 나 그거 못했어. - '못'에 강조를 준다. 의도한 표현전달이 잘된다.

☆ 말을 효과적으로 하는 법!(총정리)
말할 때 천천히 말하면서 끊어 읽고, 강조해서 말하고 싶은 부분에 강조하면 훨씬 더 의사표현이 잘되고 말을 잘하는 것처럼 보인다.


■ 개별 교정 시간 - 한 명씩 앞에 나와서 말하는 것을 녹음하고 교정해주는 시간을 가졌다.


- '뭐란가하면' (X) → 이런 말 안 쓴다.

- 외래어를 외워야 한다.
예) 타이밍, 포인트, 더블클릭…

- 억양을 고치기 위해서는 한 음으로 읽는 연습을 한다.
(말의 높낮이를 모두 같게 하여 글을 읽는 연습을 한다.)

- 남쪽에서는 구어체같은 쉬운 말을 많이 쓰는데, 북쪽에서는 문어체를 많이 써서 문제가 된다. (그래서 이질적인 인상을 주게 된다.)

- 북쪽에서 오신 여성분들은 대체로 목소리의 톤이 높다. 낮추는 연습이 필요하다.



-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약 10초간의 공백이 있었다.
자신감이 없고, 듣는 사람이 지루하고, 애처로운 느낌을 자아낸다.
예) 이... 그... 저... 저기요... (이런 말투는 고쳐야 한다.)

- '제 혼자' (X) → '저 혼자' (O), '혼자' (O)
'제', '내' 이런 말은 잘 안 쓴다.
윗사람에게는 '제가, 저가', 동년배들에게는 '내가' 라고 표현한다.
한 단어로 쓰는 말(조사 없는 말)은 잘 안 쓴다. → 경상도 사투리의 느낌을 준다.
예) 니, 내 - "내 ~했다."

- 얼굴 표정도 중요하다. 찡그리거나 슬픈 표정은 아파보이고 우울해 보인다.
하지만, 심각한 상황에서 웃으면 곤란하다. 평소에 미소 짓는 연습을 한다.

- 말의 끝도 흐리게 맺지 말자. 끝까지 정확히 말하고 끝내는 습관을 들인다.

☆ 말하기는 '자신감' 이 매우 중요하다. 자신감이 모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잘못했어도 자신감이 있으면 잘해 보이고, 반면에 아무리 잘했어도 그 일에 대해 자신감이 없다면 잘했어도 못해 보인다. 이처럼 자신감은 말하기에 있어서 굉장한 영향을 미친다.



- '예를 들어서' → 이런 표현은 매우 바람직하다.

- '은행' (O) , '운행' (X) → ' ㅡ ' 발음을 연습한다.

- '폰뱅킹' 을 발음할 때, 잘 안된다면 끊어서 읽는다.
예) '폰/ 뱅킹' 으로 끊어서 읽어도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는다. 발음이 정확해져서 좋다.

- 앞에서도 말했듯이, 억양이 심할 경우에는 한 음으로 읽는 연습을 계속 반복해서 해준다.

- 전화상으로는 발음이 불분명하게 전달되기 쉽다. 이름을 말할 때, 상대방이 잘 못 알아들으면 단어의 예를 들어서 말한다.
예) 이수민(하나교실 담당자)의 경우 - '이발'할 때 '이' 자에, '수영'할 때 '수'자에 '민족'할 때 '민'자.
선생님의 경우에도 이름이 '조미경'이지만 '조미정'으로 많이 쓰였었다.
발음이 심각하게 못 알아들을 정도도 아닌데, 내가 북한에서 온 사람이라는 것을 알까봐 자신감도 없고 콤플렉스를 가질 필요가 없다. 당당하게 발음하자.

- 받침 있는 이름은 발음이 어렵다. 본인이 발음하기가 힘들다면 개명을 해도 좋다.



- '의사' 발음이 잘 안될 경우에는 [으이사]로 발음을 해보자. 그리고 계속 연습하자.
- '말씨' (X) → '말', '말투', '말하는게' (O) ; 말씨라는 말은 잘 안 쓴다.
'말씨'의 '씨' 발음에도 쉬~하는 'sh' 발음이 많이 섞여있다.

- '~도 있고' 에서 '고' 에 강조하면 경상도사투리처럼 들린다. 쓸데없는 한 곳에 강조하지 말자.

- 약간은 의식적으로 끊어서 말해야 말이 빨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말하는 중간에 숨쉬기를 안 해서 말이 빨라지는 것이다.
예) 제가 / 은행에 / 갔을 때 → 이런 식으로 끊어 읽자.



- '애기가' (X) → '애기를' , '애기' (O) ; 목적어를 말할 때, '~가' 라고 하면 안 됨.

- '배워줬거든요.' (X) → '가르쳐줬거든요.' (O)
배움을 받은 거지, 준게 아니다. 배워줬다는 말은 쓰이지 않는다.
만약에 배웠다는 표현을 쓰고 싶으면
'배워줬다' (X) → '배웠다' (O) / '배운대로'(X) '가르쳐준대로' (O)

- '이젠' (X) → '벌써' (O) ; 예) 대한민국에 온 지 벌써 10년째에요. (O)

- 발음이 잘 안되면 하나하나 끊어서 말한다. ; 예) 이 / 수 / 민

- '곤란하다'라는 말 잘 안 쓴다. → '힘들어서' 라는 말로 순화하여 사용하자.
예) 말 하는게 너무 힘들어서.

☆ 억양이 있는 것이 느껴지면 흥분을 가라앉히고, 마음을 편하게 가지고 작은 목소리로 말한다.

- '확실히'를 발음할 때 → [학실히] (X) , [확씰히] (O)
발음하기 어려우면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말로 바꿔서 말한다. 예) 정확히.

- '자존감' (X) → '자신감' (O)



- '여게' (X) → '여기에', '여기에 온 건' (O)

- '~것은' , '~하는 것은' (X) → '~건' , '~하는 건' (O)

- 이야기 vs 얘기
'이야기'는 방송에서도 쓰지만 주로 문어체(글)에서 쓴다.
'얘기'는 주로 구어체(말)로 쓰이므로, 얘기라고 하는 것이 말할 때는 더 자연스럽다.

- '신중하게' (X) → '제대로', '깊이 있게' , '열심히' (O)
신중하다는 말이 잘못된 것은 아니지만, 말할 때는 좀 더 쉽고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쓴다.

- '오지 않았어?' (X) → '왔어?' (O)
남쪽에서는 쉬운 단어, 축약어들을 많이 쓴다. (특히, 인터넷에서~)

- '이것이' (X) → '이게' (O)

- '결함이 있는지' (X) → '문제가 있는지' (O)
결함이라는 말은 기계 같은 물건에만 주로 쓴다.

☆ 주로 남쪽에서는 쉽고, 축약해서 많이 쓴다!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 이지우 2009-05-08 14:07:09
    안녕하세요^^
    제가 회원으로 로그인 한지가 오래 되어서 로그인 안되네요~
    한가지 건의사항 좀~~ 지금 운영하시는 사투리 교정 프로그램 따로 운영해 주실수는 없는지요~ 사투리를 꼭 고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표준어를 제공하는것도 하나의 서비스 정신이라고 생각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용어들을 사투리로 전달하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사투리교정을 받아보려고 한국의 지방사투리 교정학원을 알아보았는데 가격이 백만원도 넘더라구요~ 아직 수입이 있는 상태는 아니여서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동지회에서 말하기 프로그램 운영한다고 하셔서 통화는 해보았는데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섞어서 함께 진행한다고 하시기에 따로 독립적인 프로그램 운영은 어려운지 여쭤봅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삭제
  • 관리자 2009-05-12 00:10:50
    이지우님 안녕하세요.
    말투때문에 많은 어려움들을 겪고 있는 점 잘 알고있습니다. 그런 이유때문에 말하기강좌를 이미 여러번에 걸쳐 진행해왔었고 이번 하나교실 프로그램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교실에서 진행하는 다른 수업내용들도 컴퓨터 같은 사회생활에 꼭 필수적인 내용들로서 이미 추진계획이 확정되었기때문에 당장 바꾸거나 확장하는 건 어렵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다른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불편하시다면 말하기강좌 수업만 참가하도록 고려할수는 있습니다.
    생각해보시고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좋아요 한 회원 0 좋아요 답변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하나교실1기]말하기강좌 1회 - KBS 조미경 리포터
다음글
임대주택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