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토론게시판

상세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15편..시리즈
Korea, Republic of 돌통 0 301 2023-11-18 15:55:38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15편  시리즈

연재



김수지는 『1945~1950년 북한혁명 속의 일상』에서 혁명적 변혁을 주도하는 데 있어서 해방 후 설치된 인민위원회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김일성이 유엔사령관을 거부했지만


1948년 북한 선거에서는 참여도가 높은 직위를 대상으로 지방선거가 실시됐다.  평양에 주둔한 월터 초인스키(Walter F. Choinski) 중령은 그 흥분의 정도를 1900년대 초반 미국에 비유했다.


그와 다른 관찰자들은 결과에 이의가 있었고 그 마을은 이의를 제기했다고 보고했습니다.


회의에서는 후보자를 심사하여 공직에 오른 사람들의 인기와 존경을 보장했습니다.


[28] 김, 북한혁명의 일상, 1945-1950, 77, 86, 87, 88, 89, 98, 175.


북한은 건국 이후에도 인권 잔혹 행위에 연루된 일본 경찰을 숙청함으로써 정당성을 강화했다.


북한은 정권 지지를 결집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교육, 선전, 문화에 상당한 자원을 투자했습니다.  100명이 넘는 작가들이 남한에서 이주했습니다.  외부 관찰자들은 민속 무용, 음악, 문학 및 드라마의 문화 르네상스에 대해 말했습니다.  일본에 대한 민족주의 투쟁을 기념하는 초기 영화 산업이 발전했습니다.


1949년 말 김일성은 작가, 예술가들이 “인민을 교양하고 공화국을 수호하는 전사”가 될 것과 무엇보다 “근로인민의 영웅적인 투쟁을 그려내야 한다”고 당부했다.  평양 언론인 한재덕과 소설가 한설야는 김 위원장을 중심으로 스탈린과 마오쩌둥을 모델로 한 개인 숭배를 조성하는 데 일조했습니다.


그것은 성리학적 전통을 바탕으로 가문의 충성심을 존중했기 때문에 오래 지속된 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


북한 정부 역시 권위주의적 조치와 반대자 탄압에 의존해 이에 대한 서방의 부정적인 시각을 확인시켜 주었다.  김일성 정권은 외부 전복의 위협에 맞서 단결을 요구하는 포위 사고방식을 발전시켰다.


[29] 암스트롱, 북한혁명, 1945-1950, ch. 6.



            이상…   16편에서 계속~~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14편..시리즈
다음글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16편..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