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편..




 

 

최현은 1907년 음력 6월 6일 중국 길림성 훈춘현에서 태어났다. 본래 이름은 득권이었다. 그의 부친은 최화심(崔化心)으로 당시 독립운동을 펼쳤던 홍범도 부대의 일원이었다. 독립군 집안에서 태어났던 것이다. 훗날 북한 정권을 장악한 김일성의 동료들 가운데서도 최현은 유일한 독립군 출신이었다. 출신 성분에 있어서도 최현은 항일운동의 정통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DNKF_12548_296729_1399944479_i.jpg

▲출처: 와다 하루끼,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창작과비평사, 1992), p. 302-3.

 

 

위의 분류에서 와다 하루끼가 김일성의 출신성분을 한방의로 구분한 점이 다소 의문스러울 수도 있다. 그것은 김일성의 부친 김형직이 1926년 간도 지방으로 넘어가 잠시 한의원을 차렸던 경력이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최현은 글을 모르는 일자무식의 군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그는 아홉 살 때 구학서당을 다닌 적이 있었고, 그 후 유격대 시절 한글을 배웠으며 중국어에도 유창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최현이 아래와 같은 말을 한적이 있다고 한다.

 

"감옥장에게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룡정 영신녀자 중학교를 졸업하고 집에서 놀고 있었다. 한 번은 그 여자가 머리를 깎으러 와서 나보고 중국 사람인가고 묻더니 조선 사람이란 말을 듣자 놀라는 표정을 하며 말하였다. ‘어떻게 중국 말을 그렇게 잘 하는가.’ 나는 그를 떠보느라고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중국 사람들과 공동으로 싸우자면 우리도 중국말을 알아야 할 게 아닌가?.'”? ‘항일빨찌산 참가자들의 회상기 7’ (조선로동당출판사, 1962), p.109.~에서

 

 

1920년 경신참변 때 어머니를 여읜 최현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증오와 복수심을 불타게 된다. 이때부터 그는 일본 제국주의에 깊은 원한을 지니게 됐다. 독립군이었던 아버지 최화심이나 홍범도, 임병국 등 독립군 간부들의 영향도 최현의 세계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어린 시절 어머니의 죽음을 목도했던 사건은 최현이 항일유격대 활동에 가담하게 된 결정적 사건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본 침략군에 의하여 나의 어머니를 빼앗긴 사실은 원수들에 대한 나의 원한을 어릴 때부터 골수에 사무치게 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나로 하여금 어려서부터 일본놈을 미워하는 반일 사상으로 성장하게 하였으며 조국에 대한 사랑을 가슴 깊이 품게 하였다.”? 최현, ‘혁명의 길에서’ (국립출판사, 1964), p.12.~에서

 

1926년 소련 국경의 능창에서 ‘동만청춘’이라는 혁명조직에 처음 가담한 최현은 공산주의 투쟁 강령을 접하면서 사상적으로 적화되어 갔다. 이때 그는 주로 경제 ‘모연(모금)’ 공작과 삐라살포를 담당하다가 중국 육군대에 사로잡혀 연길 감옥에 수감된다. 무기징역을 언도받았으나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7년형을 살았다. 옥중에서도 최현은 ‘반제동맹’과 ‘적위대’라는 조직에 가입하면서 정치범들의 탈옥 공작을 비롯한 옥중투쟁에 전념했다.

 

‘항일빨찌산 참가자들의 회상기 7’에서는~~ 최현의 연길 감옥에서의 일화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연길 감옥에서의 최현의 활약상은 그가 일찍부터 항일운동에 가담했고, 항일운동을 하다 체포된 시기는 김일성보다 오히려 빨랐다는 점으로 미루어 그의 항일경력이 김일성과 대등했고 그 업적에 있어서는 오히려 김일성보다 다양하고 월등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최현은 1907년생이고  김일성은 1912년생이니 최현이 김일성보다 5살 더 많으니 그럴수 있겠다.)

조금 길게 인용해보자.

 

“1926년, 나는 고향인 훈춘현 훌루투거우에서 맑스주의의 소조 ‘동만 청춘’의 한 성원으로 경제 모연 공작, 삐라 공작 등을 하다가 백가장놈의 고발로 체포되어 무기 징역 언도를 받고 연길 감옥에 감금되었다(당시 20세). 나는 일생을 철창 생활을 하게 된 것이 원통하기도 하였지만 그보다도 더 원쑤들과 싸우지 못 하게 된 것으로 하여 가슴이 터지는 것만 같았다. (중략) 독립군 사건으로 들어 온 10여 명의 조선 사람을 제외하고는 정치범이란 없었고 모두가 잡범들이었다. (중략) 그러던 어느 날 나는 변소에서 독립군 대장 임병국을 만나게 되었다. 그는 홍범도의 전우로서 우리 아버지와도 늘 련계를 가지고 활동했던 만큼 내가 어릴 때에 우리 집에도 여러 번 왔었고 또 아버지의 련략을 가지고 내가 그에게 여러 번 찾아간 일도 있었다. 그는 나를 얼른 알아보지는 못 하였다. 내가 아무개의 아들이라고 하여서야 비로서 나를 알아 차렸다. ‘너도 감옥에 갇히고 말았구나! 청년들은 시대를 따라야 한다! 참 장하다!.’ (중략) 그때 나는 석판 ~~

 

       이상.         (하)편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