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자유게시판

상세
일제강점기때 만주에서 독립투쟁.. (시리즈) 05편
Korea, Republic of 돌통 0 310 2021-02-12 22:13:46

05편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의 총사령관은 양정우이고,{ (참고)  제 2로군 총사령관은 周保中, 제 3로군 사령관은 趙尙志였고 둘 다 중국인이었다. }


왕덕태가 부 사령, 위증민이 정치위원이 되었다. 그런데 여기서 김일성의 기존 부대였던 동북항일연군 제2군 3사는 기존에 제1군과 제2군에 있었던 사들이 차례대로 재편성되는 까닭으로 동북항일연군 제1로군 제6사가 되었다. 그래서 김일성은 자연스럽게 제6사 사장이 되었다.{ (참고) 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141~142. }


이 당시 김일성의 나이는 25살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군사 지도자가 된 것이다.


  김일성이 제6사 사장으로 있을 때 오늘날 북한이 가장 크게 선전하는 보천보 습격사건이 있었다. 흔히 보천보 습격사건이나 보천보 전투로 불리는 이 사건은 1937년 6월 함경남도 갑산군 보천보에서 일어난 사건이다. 이 사건이 일어나기 3달 전인 1937년 3월 장백현 서강 양목정자에서 회의가 열렸다. 이 회의에서는 제4사와 제6사의 공동작전에 제2사를 가담시키는 것과 조선 국내로 들어가는 국내진공작전이 논의되었다. 그리고 김일성이 국내진공작전을 주도할 것으로 정해졌다.{ (참고)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156~157. }


보천보 습격사건은 여기서 말한 국내진공작전의 일환이었다.

보천보 습격사건의 진행과정을 간단히 살펴보자. 먼저 김일성은 6월 초 압록강을 건너 대안으로 이동하였다. 그 다음 밀림 속에서 잠복하였다. 그 사이 6사의 대원들이 보천보에서 주재소를 습격하여 무기들을 탈취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대원들은 우편소를 습격하여 불을 질렀고 요리점, 잡화상, 주택 등에 침입해 현금과 물자를 탈취하였다. 그 다음에는 조선을 독립시키자는 선전이 담긴 삐라들을 뿌리고 철수 하였다. 이 소식이 알려진 후 혜산진서에 있었던 오카와(대천) 경부의 일대는 이 사건을 일으킨 김일성 부대를 처단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래서 오카와 부대는 압록강 대안에 있었던 김일성 부대와 교전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오카와 부대는 김일성부대를 처단하는데 실패했고 오히려 추격경관 7명이 사망하고 14명이 부상을 입는 등 패배하고 말았다. {(참고)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158~160. }


김일성은 보천보 습격작전을 잘 끝내고 철수하였다. 그리고 6월 말에 참모장 지위의 박득범이 인솔하는 제4사와 뒤이어 조아범이 이끄는 제2사랑 만났다. 이들 3사연합군은 장백현 13도구에 위치한 간삼봉으로 이동 하였다.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일제는 김인욱 소좌의 지휘 하에 함흥의 제74련대를 이끌고 이들을 치려고 하였다. 그러나 3사 연합군은 먼저 간삼봉에 도착 하였고 적을 기다리며 매복해있었다. 이후 3사 연합군은 일본군이 나타나자 그들에게 집중 공격을 퍼부으면서 전투를 치렀고 엄청난 타격을 입혔는데{ (참고)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161~162. }


이를 간삼봉 전투라 한다. 김일성은 보천보 습격작전을 성공으로 이끌고 이후 제2, 제4사와 연합하여 간삼봉 전투에서 다시 한 번 승리했던 것이다.

  그런데 1938년에 김일성 부대에 중대한 변화가 일어났다. 그 이유는 바로 제1로군의 편성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제1로군의 편성이 바뀐 이유는 제1사 사장 정빈의 배반 때문이었는데, 정빈으로 인해 군내의 정보가 누설될 것을 우려한 제1로군은 7월 중순에 노령에서 긴급간부회의를 열어서 현행의 2개의 군 6개의 사 제도를 고쳐 1개의 경위려와 3개의 방면군으로 개편할 것을 결정했다.{ (참고) 이재화, 『한국근현대민족해방운동사』(백산서당, 1988), p. 363. }


그래서 1군, 2군의 교도단과 2군 독립려에서 한 개의 경위려를 만들고 2사와 3사에서 제1방면군을 만들었다. 그래서 김일성의 제6사는 제2방면군으로 편성되었는데 이후 김일성은 1로군 제2방면군 군장이 되었다. { (참고) 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 170~171. }


김일성이 제1로군 제2방면군 군장으로 있었을 당시 홍기하 전투를 치렀다. 홍기하 전투는 1940년 3월 화룡현 홍기하에서 김일성 부대가 일본인의 목재소를 습격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때 김일성은 대량의 총탄과 쌀을 탈취하였다. 그런데 이를 화룡현  마에다 다게이치 가 알게 되어 김일성 부대를 추적하기 시작했다. 이를 알게 된 김일성 부대는 마에다 중대를 따돌리려고 했으나 상황이 녹록치 않자 매복하고 있었다. 이후 김일성 부대는 마에다 중대와 안도현에서 맞닥뜨리게 되었고 전투를 치렀다. 이 때 145명 정도의 마에다 부대는 매복해있던 김일성 부대의 공격을 받고 섬멸 당하였다.{ (참고) 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 173~174. }


홍기하 전투의 승리는 김일성으로서는 상당히 큰 전투이자 큰 승리였다. 그러나 당시 동북항일연군은 김일성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일제의 엄청난 토벌과 간부들의 투항으로 인해 붕괴되어갔다.{ (참고) 1938년경 3만 여 명에 달하던 유격대가 1940년 무렵에 이르면서 1400여 명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


이러한 상황 속에서 김일성은 김정숙(金正淑), 리을설, 리두익, 전문섭, 최인덕 등 12명가량의 대원들을 이끌고 1940년 10월 국경을 넘어 소련으로 퇴각하였다.{ (참고) 기광서, ?1940년대 전반 소련군 88독립보병여단 내 김일성 그룹의 동향?, 『역사와현실』 28권(1998), 한국사연구회, p. 259. }


김일성은 소련으로 퇴각한 뒤에 얼마동안 감금을 당하는 등 고초를 겪었다. 그러나 동북항일연군 제2로군의 총사령관이었던 주보중의 보증 덕분에 풀려났다. 한편 소련 정부는 1940년대 초 소련으로 대거 퇴각한 동북항일연군 대원들을 이용해 일제를 감시하는 정찰 부대를 만들려고 했다. 이러한 목적으로 소련 정부는 1942년 9월 소련극동적군 제88특별여단을 설립했는데 이것의 또 다른 이름은 동북항일연군 교도려이다. { (참고) 기광서, ?1940년대 전반 소련군 88독립보병여단 내 김일성 그룹의 동향?, 『역사와현실』 28권(1998), 한국사연구회, p. 262. }



김일성은 동북항일연군 교도려에서 대위 계급과 함께 1대대의 대대장으로 임명되었고 그 밑에 조선인 안길 이 정치위원이 되었다. 김일성의 상관으로는 교도려의 여장 주보중, 참모장은 샤마르센코 소령, 부여단장은 시린스키와 부참모장으로 임명 된 조선인 최용건이었다. 그리고 김일성과 같은 계급의 2, 3, 4대대의 대대장은 왕효명, 허형식, 시세영이다.{ (참고) 이덕일, ?연해주의 소련 극동적군 88여단의 결성배경과 성격?, 『한국근현대사연구』 6권(1997), 한국근현대사학회, pp. 177~178. }



김일성이 교도려에서 이후 어떤 활동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많이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남아있는 러시아 기록에 따르면 김일성이 러시아어 학습을 했었던 것으로 보인다. 1944년 8월에 교도려 정치부장 세레긴 소좌가 극동 전선군 정치국장 루카쉰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세레긴 소좌는 “김일성을 비롯한 일부 중국인 대원들이 러시아어 학습에서 성공을 거둔 것은 특히 주목해야한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보면 김일성은 교도려에서 구체적인 전투보다는 소련군으로서 갖춰야할 학습을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후 김일성은 1945년에 일어난 대일전에도 참가하지 못했다. 이것은 다른 동북항일연군의 대원들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김일성은 대일전 불참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소련 군함인 푸카죠프호를 타고 9월 19일 원산항에 도착하였다. { (참고) 와다 하루키, 『김일성과 항일만주투쟁』(창작과비평사, 1992), pp. 286~290.}



●  .맺음말



지금까지 우리는 일제강점기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해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먼저 김일성의 공산주의 수용과 공산주의 청년단체 활동이다. 그 다음에는 만주에서 항일 유격대가 설립된 이후와 동북인민혁명군 결성 이후 김일성의 무장투쟁이다. 마지막으로 김일성의 대표적인 항일무장투쟁 경력인 동북항일연군에서의 무장투쟁과 김일성이 부대 ~~ 이상.. 06편에서 계속~~

10paㄲ?ㅈㅣ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6.25에 대한 북한과 중국(모택동)과의 외교관계..05편
다음글
중국 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