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상담내용 자체가 한 편의 드라마" |
---|
전진용 하나의원 정신과 공중보건의 "전담의사 채용해야" 탈북자들은 체포에 대한 불안과 두고 온 가족들에 대한 걱정 등으로 심리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정신과'는 왠지 불편함을 준다. 탈북자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상담과 치료보다는 '수용'의 의미로 '49호 병원'(정신병원)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초창기 하나의원의 '정신과'를 찾는 발걸음이 뜸했던 이유다. 때문에 탈북자들과 친밀감을 쌓는 것이 치료보다 우선이었다고 정신과 공중보건의 전진용(35) 씨는 22일 데일리엔케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상담이라는 인간적인 치료를 할 수 있어 정신과를 선택했던 전 씨. 그가 하나의원에 지원하기 전까지는 '하나원'은 생소했다. 더욱이 탈북자들과는 만난 적도 없었다. 색다르고 보람된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지원결심을 한 그가 올해로 하나의원에서 3년째를 맞았다. 전 씨에겐 처음 모든 게 녹록치 않았다. 가장 힘들었던 건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었다. 정신과를 찾은 한 탈북자가 '많이 아프다'를 '바쁘다'고 표현했던 탓에 어리둥절했다는 전 씨다. 그는 "'가글하세요', 'X-ray' 같은 말을 다시 다른 말로 설명해드려야 한다거나, '냉침이 올라온다', '속에서 무언가 돌아다닌다'등 통증을 표현하는 방식이 달라 처음엔 애를 먹었어요" 라며 당시를 회상했다. 질병에 대처하는 방식에도 차이가 있었다. 소화가 안 될 때 스스로 뜸을 뜬다든지, 피부염에 치약을 바르고 빨리 낫기 위해 약을 한꺼번에 먹는 일도 있었다. "한번은 탈북자분들에게 '스트레스 받는 분들 상담하러 오세요' 라고 했더니 '선생님, 저는 스트레스 못 받았는데 어디 가서 받나요?' 하시더라고요. 외래어가 생소한 나머지 스트레스를 하나원에서 나눠주는 물건으로 착각하신 거죠." 탈북자들과 친밀감이 쌓이면서 의사소통이 자유로워지자 그를 찾는 이들도 많아졌다. 그는 "탈북자들의 상담내용 자체가 한 편의 드라마"라고 말했다. 어머니를 만나기 위해 목숨을 걸었지만 도착하기 불과 몇 달 전에 어머니가 사망했다는 소식을 들은 사람부터, 함께 운 좋게 탈북 했지만 몇 년씩 헤어져 있어야 하는 가족들까지. 탈북과정에서 느꼈던 긴장과 불안, 새로운 환경에 대한 막연한 걱정, 가족과의 이별에서 오는 스트레스 모두 세밀한 치료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전 씨는 말했다. 탈북자들에 대한 안정적인 치료를 위해선 하나의원 내 전담의사 채용이 시급하다고 전 씨는 지적했다. "공중보건의가 아닌 전담의사를 채용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공중보건의 선생님들의 근무지 이동이 잦으면 진료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새로 온 선생님들이 적응 기간을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으니까요." 하나의원은 하나원에 공중보건의가 배치되면서 2004년 탄생했다. 초창기 하나원에는 의무실만 있었고 간호사 1명이 모든 진료를 담당하기도 했다. 내과, 치과, 한방과로 시작해 2008년 정신과가, 다음 해 2009년 산부인과가 개설됐다. 현재 의사 7명, 간호사 5명, 간호조무사 1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인원과 시설이 부족하다고 전 씨는 주장했다. 인터뷰 말미 전 씨는 "하나원 진료를 하면서 막연했던 통일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며 "통일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많은 사람들이 탈북자들을 많이 접해보고 도움을 줄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탈북자들을 보면서 같은 민족이라 해도 단기간에 적응하기에는 너무 다른 언어와 문화권에 살아왔음을 느낀다"며 "통일이 되면 이런 혼란이 더 심각해질 것 같다"고 덧붙였다. 조아름 대학생인턴기자(이화여대 4년) |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