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자 절반 北에 송금…51만∼100만원 많아" |
---|
"81.5% 함북으로 보내, 수수료는 송금액 21∼30%" 북한인권정보센터, 탈북자 396명 면접조사 2만명을 돌파한 국내 탈북자의 절반가량이 북한에 있는 가족에게 송금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처음 나왔다. 13일 사단법인 북한인권정보센터(소장 김웅기)에 따르면 이 단체가 작년 12월14∼31일 국내에 거주하는 15세 이상 탈북자 396명을 면접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중 49.5%가 북한의 가족에게 송금한 적이 있다고 밝혔다. 조사대상자의 46%는 송금한 적이 없다고 말했고, 4.5%는 북한에 가족이 없다고 답했다. 그동안 탈북자의 대북 송금에 관한 추정치는 나돌았으나 구체적인 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 한해 동안 개인별 송금 총액을 보면 51만∼100만원이 전체 응답자의 31.7%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1만∼200만원(16.7%), 500만원 이상(12.5%), 50만원 이하(12.5%), 201만∼300만원(12.5%) 순이었다. 이 중 최고 송금액은 600만원이었는데, 우리 돈 100만원이면 북한에서는 약 반년치 생활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0년 한 해 동안 송금 횟수는 한차례가 6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두차례(14.2%), 세차례(10.8%) 순이었다. 송금 목적지로는 함경북도가 81.5%로 압도적이고 양강도(8.7%)가 뒤를 이어 북중 국경지역 출신이 대부분인 탈북자들의 현실을 반영했다. 송금을 위해 제3국의 브로커 등에게 지불하는 수수료는 송금액의 21∼30% 수준이라고 답한 경우가 69.5%로 가장 많았다. '탈북자 전체 중 어느 정도가 송금을 하는 것으로 보느냐'는 물음에 전체 탈북자의 61∼80%가 송금을 할 것으로 본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 많았고, 81% 이상의 탈북자가 송금할 것이라는 응답이 34.9%로 뒤를 이었다. 탈북자들의 대북 송금은 평균 월소득 100만원을 겨우 넘는 열악한 현실에서 이뤄졌다고 이 단체는 전했다. 취업한 탈북자의 월 평균 근로소득액은 104만원으로 파악됐으며, 직업별 일용직 근로자 비율도 38%로 작년 말 기준 국내 일반인 일용직 비율(7.6%)의 약 5배나 됐다. 이 단체의 이용화 조사팀장은 "애환 속에서도 '나 혼자만 잘 먹고 살 수 없다'는 탈북자들의 가족을 향한 애틋한 정 때문에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로도 이들의 대북송금 자체를 막을 수는 없을 것"이라며 "탈북자들의 송금은 북한 사회에도 영향을 미쳐 송금을 받은 가족의 50% 이상이 한국 사회에 대한 동경심을 갖게 된다고 한다"고 전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10 북한이탈주민 경제활동 동향-취업·실업·소득'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최근 펴냈다. 이 단체는 2005년부터 모두 7차례에 걸쳐 탈북자 경제활동 실태를 조사했으며, 보고서 발표는 이번이 다섯번째다. 김성진 기자 sungjin@yna.co.kr
신고 0명
게시물신고
|
대북제제를 돕는 결과 입니다
대북제제는 북한정부를 겨냥하여 그들의 망령된 생각을 깨우치고 국제사회 에 대한 평화를 위헙하는 핵을 포기하고 그들의 생존방식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국민을 살리고 개혁개방으로 이끌어 내기위해 세운 대책으로
국민을 죽이자는 것이 아니라 그나라를 구원하고 평화를 지키자는 국제적 제제조치인바
그 때문에 국민이 죽어 가는 것을 바라는 탈북자는 한사람도 없는 줄 압니다
그러므로 김정일정부를 상대로 하고 있는 대북제제에서 국민을 배제시키고
칼자루를 국민에게 이전시키는 일은 탈북자들을 도와 인권단체들과 전세계 애세력이 대북제제와 함께 동시에 밀고 나가야 할 초미의 과 제 입니다
탈북자들에게만 맡길것이 아니라
어려운 제제속에서도 국민이 살아 남을수 있도록 그리고 그들이 스스로 민주화봉기를 들고 일어날수 있도록 막강한 힘을 국민에게 실어 주는 일을 병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한국에서 번돈을 전부 하나도 없이 북한 에 보내는 사람도 보았습니다
집이있고 열심히 벌기만하면 여기선 굶지 않는다 면서 한해에 천만원을 보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좀 심한 편이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살고 있는 사람입니다
탈북자들을 도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