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의원 北인권 외면하고 反美 매달려" |
---|
"386의원 北인권 외면하고 反美 매달려" 아시안 월스트리트저널은 13일 ‘영 하워드(Young Howard)’라는 필자가 쓴 ‘인권에 대한 외면(No Respect for Human Right)’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을 통해 “20여년 전 남한의 군부 독재 타도에 앞장섰던 386들이 지금 북한의 인권을 외면하고 낡은 반미 감정에 매달리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기고자는 1980년대 2년간 복역한 운동권 학생출신으로, 현재 북한민주화네트워크(www.nknet.org)의 국제부문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고 신문은 소개했다. 다음은 주요 내용. 지난 10월 미국 의회에서 북한인권법이 통과됐을 때 부정적 반응의 대부분은 현 남한 정부를 지지하는 세력으로부터 나왔다. 집권 열린우리당 소속 의원들은 이 법이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할 수 있다고 반발했고 노무현 대통령을 지지하는 좌파 활동가들 또한 “한반도 평화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비난했다. 1980년대 군부 독재에 저항한 남한의 반정부 운동권은 사회주의자들이 이끌었다. 그들 중 일부는 소련을 모델로 설정했고, 일부는 북한 김일성의 주체사상을 신봉했다. ‘386세대’라 불리는 이들이 대학을 졸업하고 다양한 직업을 갖고 책임 있는 자리에 진출해 있다. 많은 이들이 젊은날의 혁명적 열정을 버렸을지 모르나 미국에 대한 강한 적대감, 북한에 대한 정서적 공감 등 낡은 교리를 여전히 갖고 있다. 이는 1990년대 북한의 집단 기아와 대규모 난민 탈출이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그대로다. 그들은 아직도 북한을 사회주의 국가로 보고 있으며 평양 정권이 비록 문제가 많지만 남한 역시 완벽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바로 남한의 민주화 운동가 출신들이 세계에서 가장 인권 억압적인 집단에 침묵하고, 그 상황을 개선시키려는 온건한 정책에 대해서조차 반대하는 역사적·이데올로기적 배경이다. 1980년대 남한의 군사정권에 저항하던 그들이 인권, 자유, 민주주의를 외친 것은 그 가치들에 대한 진정한 열망이 아니라 정치적 권력 획득을 위한 전술적 수단이었다는 서글픈 결론에 다다르게 된다./ nk.조선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