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임무 보위부원·보안원도 마약 찌들어…통제 불능" |
---|
북한 당국이 1990년대 초부터 외화벌이 목적으로 시작한 일명 '백도라지' 사업의 영향으로 북한 내부에 마약복용이 만연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감시·단속해야 할 국가안전보위부, 인민보안부, 군대 간부에서 말단 일꾼들까지 마약을 즐겨 복용하고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북한 함경북도에서 두만강을 넘나들며 밀무역을 하다 올해 봄에 탈북한 김영민(가명·30) 씨는 최근 데일리NK와 만나 "북한에 있을 당시 밀무역을 진행하다 보위부원들과 보안부 담당지도원, 국경경비대 간부들과 함께 모여 마약을 하곤 했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씨는 "당시엔 보위부, 보안부 사람들이랑 같이 마약을 했는데, '원래 체질이 약하고 해서 안 하겠다'고 했지만 자꾸 그 사람들이 권해서 어쩔 수 없이 마약을 해야 했다"면서 "일반 주민들과 비교해 호의호식하는 그들은 배도 나오고 체격이 돼서 마약을 자주 하곤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이 간부들은 한 달에 3, 4번 하는 것을 두고 마약한다고 말하지도 않는다. 보통 일주일에 5일 정도는 한다고 보면 된다"면서 "주민들의 마약 사용 단속과 밀무역을 단속해야 할 그들이 마약에 찌들어 있으니 북한의 마약 문제가 해결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씨는 보위부와 보안부 담당 지도원들이 마약을 제조하는 개인들에게 뒷돈을 받고 단속을 제대로 진행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김 씨는 "개인이 만든 마약이 중국에서 단속되거나 북한 당국이 중국으로부터 항의를 받을 경우에는 대대적인 단속이 이뤄지곤 한다"고 전했다. 특히 김 씨는 "마약 제조는 80년대 말 당국의 지시에 따라 평안남도 평성에 위치한 국가과학원, 함경남도 함흥, 평안북도 등지에서 처음 마약이 제조되기 시작했다"면서 "함흥에서 과학자, 기술자들 옆에서 만드는 것을 도와주면서 방법을 익힌 사람들이 나와 개인적으로 직접 만들기 시작했고 점차 제조방법이 확산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지금도 과학원 등지에서 마약을 제조해 당국에 바치고 있다"면서 "당국은 개인들이 제조 판매하는 것을 엄격히 통제한다고 하지만 국가도 앞장서 생산하는 마당에 통제는 불가능 한 상태"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은 국가적으로 제약 공장 등에서 마약의 생산, 국외로 대성총국·장생·매봉·단풍상사 등 무역상사와 해외공관을 통해 합법적인 교역물품·의약품 등으로 위장해 공공연히 수출하면서 통치자금 조성에 주력해왔다. 오세혁 기자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