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광장

토론게시판

상세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04편..시리즈
Korea, Republic of 돌통 0 129 2023-10-25 08:17:58



04편



《연재》



◇  한국전쟁을 기억하며



과거 2015년 현충일에 버락 오바마 주니어 대통령이 전사자들을 추모하는 감동적인 연설을 했을 때, 그의 주빈은 전 공화당 대통령 후보 로버트 돌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가장 위대한 세대의 대표적 인물인 돌의 동시대 인물들이 무대에 앉았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 싸운 부상당한 전사들과 마찬가지로 베트남 참전 용사들도 행사 중에 소집되어 그들의 편지를 큰 소리로 낭독했습니다.{[2] Richard L. Halferty, 잊혀진 한국 전쟁: 참전용사 희생의 기억은 눈부시게 없다, 워싱턴 포스트, 2015년 6월 24일.}


그러나 6·25전쟁 발발 65주년 기념식에도 불구하고 참전용사들은 대부분 참석하지 않았다.


서울특별시 6·25 전쟁기념비



이 기념식은 제2차 세계대전의 영광스러운 승리와 베트남의 불명예스러운 패배 사이에 일어난 미국인들의 기억 속에 잊혀진 전쟁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전형적으로 보여준다. 워싱턴포스트에 기고한 바에 따르면 텍사스 한국전 참전용사위원회 위원장인 리차드 L. 할퍼티는 현충일을 영웅적인 것에 약간 비유했다


그가 2010년 서울과 치평리를 방문했을 때 받았다고 주장한 리셉션에서 그는 한국전쟁 참전용사 모자를 발견한 여성들과 남성들로부터 포옹을 받고 감사를 받았다고 한다. 이 전쟁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었는가 하는 질문을 생각해보면서, 하프에티는 독자들에게 결과를 보라고 촉구했다.


미국이 전쟁에 참전했을 때


대한민국의 자유를 지켜라, 나라는 세계 최하층에 있었다. 한국인은 우리가 구매하는 것을 도와준 자유를 우리의 피로 가져갔고, 세계 최고의 경제국 중 하나가 되었다.

{ [3]잊혀진 한국 전쟁, 하프터티 }



할퍼티는 1992년 6월 한국전쟁 기념 연설에서 전체주의를 종식시키고 “노예가 자유로워지도록” 자신을 희생한 미군 병사들의 공헌을 예고한 조지 H. W. 부시와 매우 흡사하게 들렸습니다.  그는 전쟁을 명백히 승리로 정의했다.


미국은 “북한의 무자비한 도발” 이후에도 주저하지 않고 행동했으며, 이후 “거의 40년 동안 지속된 한국의 안정적인 평화를 구축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부시 대통령은 한국을 “처음으로 반공산주의에 맞서 승리를 거둔 전쟁”이라며 “가끔 아쉽게도 승리했다”고 말했다.


역사는 무시했다.” { [4] 케린, 한국전쟁과 미국 기억 하프터티, 잊혀진 한국전쟁 }


이러한 사례를 통해 우리는 기억한다면 한국은 공산주의 전체주의를 패배시키고 한국을 안정적이고 번영하는 민주주의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 정의로운 전쟁으로 간주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두운면의

피카소의 그림에서 조명된 대규모 잔학 행위인 미국 행위의 측면은 거의 논의되거나 고려되지 않습니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국방부 부장관을 지냈으며 이라크 전쟁의 주요 설계자인 폴 울포위츠(Paul Wolfowitz)는 2010년 8월 뉴욕 타임즈 사설에서 한국의 모델을 삼아서

이라크는 미군의 오랜 주둔으로 인해 한국이 자유의 안식처로 발전했다는 점을 암시한다.  “북한의 암울하고 잔혹한 전제정캇에 비하면 한국은 “정치적 성공 사례”였다.  이는 한국전쟁이 끝난 지 34년 만인 1987년 자유선거의 도래로 잘 드러났다.   

이라크는 민주주의의 진화에 대해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5] 폴 D. 울포위츠, 한국에서, 이라크의 모델, 뉴욕타임즈, 2010년 8월 30일 }


평양의 한국전 참전기념비라고 한다.



울포위츠의 분석은 조지 카치아피카스의 역사, 아시아의 알려지지 않은 봉기: 20세기의 한국 사회 운동(2012)에 의해 과소평가되고 있는데, 이것은 민주주의가 1987년에 미국에 의해 촉진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고문을 견뎌낸 헌신적인 사회 운동가들의 노력 때문에 출현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타와 학살, 그리고 미국이 강요한 군사 독재에 맞서 싸우는 대학살. 수 년 동안, 미국은 1989년 중국의 천안문 광장 대학살과 맞먹는 1980년 광주 대학살을 포함하여 수 많은 만행을 저지른 장군들을 기리기 위해 한국의 군경을 건설했다.

{ [6] George Katsiaficas, 아시아의 알려지지 않은 봉기 I: 20세기의 한국사회운동(PM Press, 2012) 참조 제레미 쿠즈마로프, 억압의 현대화: 미국 세기의 경찰 훈련과 국가 건설(Amherst, MA: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2012) 참조. }



많은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한국전쟁에 대한 공식적인 서술을 강화했다. 냉전학자로 불리는 예일대의 존 L. 가디스는 이 전쟁을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서기장의 지원을 받은 공산주의 침략의 단적인 사례로 제시한다. 캘거리대의 데이비드 J. 버커슨

전쟁으로 인해 한국이 냉전의 뮌헨이 되는 것을 막았다고 본다. { [7] 존 L. 가디스, 냉전: 새로운 역사 (뉴욕: 펭귄, 2010) 데이비드 J. 버커슨, 언덕 위의 피: 한국 전쟁의 캐나다 군대 (토론토: 토론토 대학 출판부, 2002), 229 참조. 데이비드 할버스탐, 가장 추운 겨울 (뉴욕: 하이페리온, 2007).}



이러한 관점에는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와 같은 학자들이 고려하는 한국인 자신의 관점과 경험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한국은 이미 반란 상태에 있었습니다. 전쟁은 실제로 1946년 미군정이 남한, 특히 남쪽의 섬의 반대 운동 탄압을 지원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948년 4월부터 1949년 5월까지 수만 명의 농민이 학살된 제주도 사건. 남한은 또한 은밀한 습격과 파괴 행위를 가중시키는 등 북한에게 도발했습니다. 또한 미국의 공식적인 서술에는 전쟁의 참상과 미군과 한국군이 민간인을 대상으로 대규모 잔혹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이 빠져 있습니다. { [8] 브루스 커밍스, 한국 전쟁(뉴욕: 뉴 아메리칸 라이브러리, 2010).}


        이상.. 05편에서 계속~~^

?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03편..시리즈
다음글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전쟁의 시각. 05편..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