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투표 득표율 |
---|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 1948년 7월 20일 → 1952 투표율100.0% ![]() ![]() 대통령 당선자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선거 ![]() 1948년 7월 20일 → 1951 투표율100.0% ![]() ![]() 부통령 당선자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선거 ![]() 1948 ← 1951년 5월 16일 → 1952 투표율100.0% ![]() ![]() 선거전 부통령 부통령 당선자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 또는 대한민국 초대 정·부통령 선거는 1948년 7월 20일 제헌국회 국회의원들의 간접선거에 의한 제1대 정·부통령 선거로 이승만 후보를 초대 대통령으로, 이시영 후보를 초대 부통령으로 각각 선출했다. 대통령선거는 오전 10시에 시작되었고, 부통령 선거는 오후 2시에 시작되었다. 목차[숨기기]선거 절차[편집]
선거 결과[편집]대통령 선거 결과[편집]대통령에 당선되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200명에 134명 이상이 출석해야 하고, 출석의원의 3분의 2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한다. 대통령 선거에는 196명이 출석하였고 196명의 3분의 2, 131표 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한다. 이승만은 180표를 얻어 제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이승만대한독립촉성국민회180![]() ![]() ![]() ![]() ![]() ![]() ![]() ![]() ![]() ![]() ![]() 부통령 선거 결과[편집]부통령에 당선되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200명에 134명 이상이 출석해야 하고, 출석의원의 3분의 2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한다. 부통령 선거에는 197명이 출석하였고 197명의 3분의 2, 132표 이상의 득표를 얻어야 한다. 1차 투표에서 132표 이상의 득표를 얻은 후보가 없어 2차 투표 끝에 이시영이 당선되었다. 1차 투표[편집]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이시영대한독립촉성국민회113![]() ![]() ![]() ![]() ![]() ![]() ![]() ![]() ![]() ![]() ![]() 2차 투표[편집]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이시영대한독립촉성국민회133![]() ![]() ![]() ![]() ![]() ![]() ![]() ![]() 선거 이후[편집]국회의 구성과 초대 정·부통령의 선출에 따라 7월 24일 취임식을 가진 뒤 8월 15일 대한민국의 정부수립이 국내외에 선포되었다. 제2대 부통령 선거[편집]부통령 이시영이 국민방위군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의 비 민주적 통치에 항의해 시위소찬(尸位素餐)이란 말을 던지고 사임한다. 1951년 5월 16일 국회에서 2차 부통령 선거가 치러져 3차 결선투표 결과 김성수가 당선되었다. 1차 투표[편집]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김성수민주국민당65![]() ![]() ![]() ![]() ![]() ![]() ![]() ![]() ![]() ![]() ![]() ![]() ![]() ![]() ![]() ![]() ![]() ![]() ![]() ![]() ![]() ![]() ![]() ![]() ![]() ![]() ![]() ![]() 2차 투표[편집]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김성수민주국민당68![]() ![]() ![]() ![]() ![]() ![]() ![]() ![]() ![]() ![]() ![]() ![]() ![]() ![]() ![]() ![]() ![]() ![]() ![]() ![]() ![]() ![]() ![]() ![]() 3차 투표[편집]득표순위이름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1김성수민주국민당78![]() ![]() ![]() ![]() ![]() ![]() ![]() ![]() ![]() ![]() ![]() ![]() ![]() ![]()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