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도 꽃제비에서 장애인 아이스슬레지하키 국가대표로 |
---|
[탈북민 출신 첫 장애인 대표 최광혁] 2016 브라질 리우패럴림픽(장애인올림픽) 폐막식이 열린 19일 오전 전북 전주의 한 아이스링크. 썰매에 몸을 실은 최광혁(29)씨가 구슬땀을 흘리며 하키 스틱으로 퍽(아이스하키의 공)을 치는 연습을 하고 있었다. 최씨는 왼쪽 발목이 없는 장애인으로 지난달 7일 동계패럴림픽 종목인 아이스슬레지하키의 국가대표로 발탁됐다. 그는 "국가대표로 발탁됐을 때 험난하고 굴곡졌던 지난 20년이 떠올라 펑펑 울었다"고 했다. 최씨는 탈북민 출신 첫 장애인 국가대표다. 1987년 함경북도 화성군에서 태어난 그는 여덟 살 때인 1995년 300만명의 아사자(餓死者)가 발생한 북한의 '고난의 행군'을 온몸으로 겪었다. 단란했던 그의 가족은 뿔뿔이 흩어졌다. 그가 학교를 그만두고 장터를 전전하며 음식을 구걸하는 '꽃제비' 생활을 시작한 것도 이때쯤이었다. 13세가 된 2000년 5월 최씨는 설상가상으로 왼쪽 발목이 절단되는 사고를 겪었다. 암시장에서 물건을 떼다 팔던 건달들을 돕던 중 단속 요원을 피하기 위해 지나가던 열차에 올라타다 떨어져 발목을 다친 것이다. 마취 없이 발목 절단 수술을 받은 최씨는 "치료를 제대로 하지 못해 상처 부위에 구더기가 들끓었다"며 "몇 번이나 죽음을 생각했다"고 말했다. ![]() 절망 속을 헤매던 그에게 소식이 끊겼던 아버지의 연락은 한 줄기 빛이었다. 몇 년 전 북한을 탈출한 아버지가 남한에 정착한 뒤 아들의 행방을 수소문해 온 것이다. 최씨는 브로커의 도움으로 중국을 거쳐 2001년 8월 대한민국 땅을 밟았다. 최씨는 "한국에 도착하니 지옥에서 천국에 온 것 같더라"고 했다. 일주일에 두 번은 학교에 가고 나머지 날에는 춘천과 전주 등을 오가며 훈련에 몰두한 지 2년 만에 최씨는 국가대표라는 꿈을 이뤘다. 최씨는 "태극 마크는 탈북자로서 그리고 장애인으로서 겪어야 했던 개인적 어려움을 극복했다는 훈장이 <iframe width="250" height="250" src="http://cad.chosun.com/RealMedia/ads/adstream_sx.ads/www.chosun.com/news@x74" frame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noresize="" scrolling="no"></iframe>자 자부심"이라고 말했다. 최씨의 다음 꿈은 모든 장애인이 원하는 운동을 즐기면서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장애인 스포츠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최씨는 "하루 끼니 때우기가 가장 큰 목표였던 제가 지금 이렇게나 큰 꿈을 꾸고 있는 게 참 신기하다"면서 "평창 패럴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둬, 새로운 꿈에 도전할 기회를 준 대한민국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김선엽 기자 입력 : 2016.09.20 03:00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