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적으로 8월종파사건 시리즈 10편 |
---|
10편        연재 둘째, 다양한 파벌의 원래 간부들 사이에 개인적인 연결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몇 차례의 정치적 숙청과 재편성 이후 원래의 간부 구조는 1956년 초에 붕괴되었습니다. 4월 노동당 제3차 대표자회(노동당 3대)때 지도부 구성이 잘 말해주고 있다는 점  셋째, 김일성을 반대하는 중추세력 중에는 연안파가 가장 많았으나 소련파와 국내파도 적지 않았다는점. 넷째, 김 지지자 중에는 소련파 국내파 심지어 연안파 간부들도 적지 않았다는 점 이번 사건에서 연안파가 단독으로 지하조직을 결성했거나, 이 조직을 중심으로 반김(反金)행동을 벌였다는 증거가 없는 한 이번 정쟁을 연안파 조직이나 지휘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 사실 이번 정쟁은 김 위원장과 지지자들에게 불만을 품은 간부들이 모두 책동한 것이어서 이들을 당내 반대파로 통칭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는 것. 둘째, 반대파의 핵심 인물은 옛 연안파 간부였던 서휘·윤공흠·이필규라는 인물입니다. 낌새가 좋지 않자 가장 먼저 도망친 세 사람(김강은 탈출자들만 도왔다.)이 문제였음을 잘 보여줍니다. 최창익·박창옥·김승화·이상조가 이 싸움에 참여했지만, 아직 기획자나 중심인물은 아닌 듯합니다. 김두봉 씨는 주변 인물일 뿐 반대파의 적극적인 영입 대상일뿐. 가장 불합리한 것은 최용건을 야당이 쟁취하려는 노력의 중심인물로 지목하고, 심지어 야당이 패배한 원인을 최용건의 팔아먹기 또는 배신으로 돌리는 것입니다.{36} 최용건은 김일성의 추종자였고, 특히 김이 1955년 모두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최용건을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에 승진시켰다. 그리고 김이 1956년 출국할 때는 국내 수호를 부탁한 것을 모든 간부들이 보고 있는데 반대파가 최에게 큰 기대를 걸고 김의 심복에게 목숨을 걸었겠느냐는 것. 당사자들의 이런 주장은 지지를 얻기 위해 기세를 올리거나 싸움에서 진 데 대한 책임을 떠넘기기 위한 것일 뿐입니다. 셋째, 8월 사건의 성격에 관해서는 당내 합법적인 정쟁이었다고 봐야 합니다. 우선 이것은 나중에 노동당이 반대파를 단죄할 때 말한 군사 쿠데타가 아닙니다. 반대파의 수중에 군권도 없고 경찰도 장악하지 못하면서 어떻게 무장 쿠데타를 조직하고 일으킬 수 있습니까? 그 다음에 반대파의 활동을 반당모략이라고 하는 것도 근거가 없고, 그들의 활동은 거의 비밀도 없이 소련대사관에 끊임없이 보고하여 지지를 얻어내는 한편, 온갖 반김일성 세력을 동원하는 로비를 도처에서 벌이고 있으니 무슨 음모가 있겠는가? 그들은 처음에는 비판과 자기비판이라는 가장 전통적인 당내 투쟁을 전개하여 김의 영도권을 빼앗거나 적어도 황제의 편을 청산한다는 목적을 달성하려 하였으나, 나중에 충분한 힘도 없고 소련의 지원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중앙 전원회의에서 공개적으로 김을 비난하여 당내 지지를 얻어내려고 최후의 투쟁을 벌였습니다. 넷째, 야당이 실패한 주요 원인은 북한 당 문제를 다루는 소련의 태도 변화였다. 노동당의 인격숭배 문제는 김일성의 치명적인 약점일 뿐만 아니라 야당의 손에 쥐어진 무기이기도 하다. 처음에 소련 지도자들은 노동당 중앙위원회가 소련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보이콧에 불만을 품고 김 위원장의 개인숭배 오류에 대한 비판을 지지했으며, 김 위원장과의 대화에도 앞장섰다.  (비록 그것이 소련의 책임은 아닐지라도) 야당이 행동을 개시하도록 더 많은 자극을 준 것은 이 정보의 유출이었습니다. 이후 모스크바는 사회주의 진영의 이념적 혼란과 불안정을 우려해 개인숭배 비판에 대한 입장을 누그러뜨리고 김 을 비판하는 과감한 조치에 반대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렇게 되자 김에 힘이 실어지고 반대파에는 힘이 빠지면서 자연히 정치적 힘겨루기의 저울은 분명히 한쪽으로 기울게된다. 마지막으로, 이 역사 기간에 대한 또 다른 매우 중요한 질문이 있습니다. 이 역사에서 중국은 어떤 역할을 했습니까? 제가 동의하기 어려운 몇 가지 진술이 있습니다.  강상호는 “공모자들은 중국대사관과 비밀 통신 채널을 갖고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에 따라 일부 학자들은 야당(반대파)이 항상 중국대사관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해 왔으며, 심지어 “사건 전체가 중국에 의해 선동되었을 수도 있다”고 믿고 있다. .{37}.  수년 후 김일성은 야당이 펑더화이(Peng Dehuai)를 지지했기 때문에 감히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고 말하면서 훨씬 더 자기 기만적인 발언을 했습니다.{38}     ■    주석 {36}. Jin Zhongzhi와의 인터뷰, Taiyuan, 2010년 2월 17일.  당시 김씨는 평양시당 평양시위원회 조직부장이었고 8월사변 이후 중국으로 도피했다. {38}. 1960년 5월 21일 마오쩌둥과 김일성과의 만남 기록, 미출판.       11편에서 계속~~~^^^^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