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뉴스

뉴스

상세
“김일성 사체보존 매년 80만달러 소모”
Korea, Republic o 관리자 593 2008-04-17 01:38:02
데일리NK 2008-04-15 13:10

[4.15 김일성③] 황장엽 "300만명 떼죽음, 김일성우상화 때문"

김일성은 1912년 4월 15일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古平面) 남리(南里)에서 태어나 82세의 나이로 1994년 7월 8일 사망했다.

4월 15일은 북한의 최대 명절인 김일성의 생일이다. 북한식으로는 '96주년'이다. 김일성은 사망한 지 14년이 지났다. 그러나 아직도 북한에서는 '살아있는' 셈이다.

김일성 사망후 11개월이 지난 1995년 6월 김정일은 따라 김일성의 집무실이었던 금수산의사당을 ‘금수산기념궁전’으로 개축하여 시신을 영구보존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김일성의 시신보존작업은 사체보존작업에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러시아 ‘생물구조연구센터’가 담당했는데, 이 연구소는 레닌의 사체 또한 영구보존작업을 맡았던 곳이다.

舊소련의 레닌(1924), 불가리아의 디미트로프(1949), 舊소련의 스탈린(1953), 舊체코슬로바키아 고트발트(1953), 베트남의 호치민(1969), 앙골라의 네트(1979), 가이아나의 바남(1985), 중국의 마오쩌둥(1976)에 이어 사회주의 지도자 중 김일성의 시신은 9번째로 영구 보존됐다.

알려진 김일성의 사체보존 방법은 ▲사체를 발삼향의 액체가 담긴 수조에 넣고, 그 향액을 삼투압을 이용하여 피부로 삼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고 ▲뇌와 안구, 내장 등은 빼내고 젤 상태의 발삼액을 사체 내에 채워 넣은 다음 ▲생체의 수분량과 같은 약 80%의 발삼향액을 사체에 넣고, 피부가 건조되도록 몇 시간 공기에 노출시키고 ▲발삼향액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노출부분을 미라처럼 가죽 포대로 감는작업을 하고 ▲얼굴에 화장을 하고, 새 옷을 입히면 보존처리가 완성된다.

사후 보존에도 매우 신경을 써야하는데 주 2회 관(棺)에서 꺼내 방부제를 얼굴과 손 등의 노출부위에 발라주어야 하며 2~3년에 한번은 발삼향액 수조에 한 달 가량 담궈두어야 시신을 보존할 수 있다고 전해진다.

따라서 시체 보존에 들어가는 비용 또 한 막대한 액수다.

1995년 7월 7일 러시아의 모스크바 뉴스는 “러시아인 기술자 7인에 의하여 (김일성의)사체보존작업이 완료됐다”며 “100만 달러가 소요되었지만 이후에도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보도했다.

또한 1996년 7월 북한을 방문한 인도네시아 골카당 대표단은 조선노동당 간부로부터 “김일성의 사체관리를 위해 연간 80만 달러가 든다”는 설명을 듣기도 했다.

북한은 김일성의 시신을 일반 주민들에게 공개하고 있는데 1996년 7월 27일 조국해방전쟁 승리 43주년 기념일을 이후부터는 외국인 관광객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김일성의 시신이 안치된 곳에는 어떤 소지품도 갖고 들어갈 수 없다. X레이 검색대를 통과한 후 신발 바닥의 먼지를 자동카페트 위에서 털어내고, 다시 축축한 카페트에 올라 신발에 붙어있는 박테리아를 제거한 후에야 입장이 가능하다. 관이 놓여 있는 방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공상과학영화에 나오는 기계처럼 생긴 흡입여과기에 들어가서 옷에 붙은 병균을 모두 제거해야 한다.

전 조선노동당 비서였던 황장엽 북한민주화위원회 위원장은 “북한이 금수산기념궁전 성역화에 엄청난 돈을 들이지 않았다면 그렇게 많은 사람이 굶어 죽지 않아도 되었을 것”이라며 "이 기간에 북한에는 유래 없는 홍수와 가뭄이 몰아닥쳤고 수많은 사람들이 기아로 죽어갔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북한은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한 이후부터 1997년 3주기를 맞을 때 까지 3년 동안 4.15 생일축하 비용으로 약 6천9백만 달러라는 거금을 지출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남궁민 기자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탈북난민 구출 "정착 생활비 보증 등"
다음글
‘北 대량아사說’…“있다”vs“없다”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