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대 권력세습 3가지 관전 포인트 |
---|
<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3남 정운에게 권력을 물려줄 징후가 뚜렷해지면서 북한 권력 구도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이는 북한의 현 체제를 위협하는 요소이자 한반도 정세의 불안요인으로도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북한 권력세습의 중요한 세 가지 관전 포인트를 짚어 본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① 피의 숙청 재연되나… 김일성 사후 2만5000여명 희생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김 위원장은 권력승계 과정에서 여러 차례 정적을 숙청한 바 있다. 1974년 이른바 ‘곁가지’ 숙청과 김일성 주석이 사망한 뒤인 1990년 후반 ‘심화조’ 숙청 사건이 대표적이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1974년 김 위원장은 후계자로 지명되자마자 그동안 눈엣가시였던 계모 김성애와 김평일 등 이복형제들을 모조리 ‘곁가지’로 지목해 정치무대에서 내쫓았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또 삼촌이자 북한 권력 2인자였던 김영주 조직비서 겸 조직지도부장을 내각 부총리로 강등시키고 그 자리를 차지했다. 모두 김 주석이 살아있을 때 벌어진 일이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이번에도 이런 현상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정운보다 12세 많은 이복형 정남에게 줄섰던 인물들은 1차 타깃이 돼 숙청될 가능성이 높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중국 등지를 전전하는 정남은 최근 측근들에게 아버지와 지도부에 대한 섭섭한 감정을 토로하고 있다는 소문이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정운의 친형인 정철의 앞길도 순탄해 보이진 않는다. 정철은 조만간 유럽지역 국가의 북한대사관에 파견된다는 첩보가 나돌고 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김 위원장은 또 김 주석 사망 뒤 홀로서기 과정에서 이른바 ‘심화조’ 사건으로 불리는 피의 숙청을 단행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노동당 농업비서 서관히가 간첩으로 몰려 공개 처형된 것을 시작으로 문성술 중앙당 본부당비서가 고문을 받다 숨졌고, 서윤석 평남도당 책임비서가 정치범수용소에 끌려가는 등 무수한 피해자가 생겼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탈북한 북한 고위 관료는 가족을 포함해 2만5000여 명이 숙청됐다고 증언했다. 김정일은 훗날 이 사건을 재심한다며 숙청에 관여했던 안전원(경찰) 6000여 명을 다시 숙청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주목할 점은 당시 안전부를 앞세워 심화조 사건을 총지휘했던 인물이 바로 김 위원장의 매제 장성택 노동당 행정부장이라는 것.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지금 장 부장은 보위부를 다시 장악하는 등 심상치 않은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숙청이 벌어지면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처럼 거물급 인사가 탈북할 가능성도 크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img src="http://www.journalog.net/_upload/blog/0000000328/20090605101257.jpg" align="bottom" width="500" height="127" border="0"></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② 70대 지도부 물갈이?… 신진세대 중용땐 갈등 불보듯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북한 지도부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고령층이다.</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김 위원장이 67세, 장 부장이 63세로 비교적 젊은 축이지만 나머지 대다수 핵심 간부는 70대 이상의 고령이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국방위원회 위원 12명 중 장 부장과 생일을 알 수 없는 백세봉, 우동측, 주규창을 제외한 나머지 8명의 평균 나이가 77세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반면 후계자로 지명된 것으로 알려진 정운의 나이는 겨우 26세. 정운과 그의 권력 장악을 후견해야 할 이들의 나이 차가 무려 반세기를 넘는다. 이런 연령차는 통치 과정에서 심각한 불협화음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이 때문에 정운은 아버지의 측근을 점차 제거하고 자신의 측근으로 교체할 가능성이 높다. 또 김 위원장의 남은 수명을 감안할 때 물갈이 속도도 빨라질 수밖에 없어 체제불안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어떤 측근 그룹에 의지하는지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김 위원장은 모교인 김일성대 출신을 중용했다. 그러나 김일성군사종합대를 나온 정운은 측근에 젊은 군부 인물들을 기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북한은 더욱 군을 중시하는 사회가 될 수 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③ 민심 어디로… ‘26세 장군’에 대한 불만 팽배할 가능성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1991년 김 위원장이 북한군 최고사령관에 선출됐을 때 많은 북한 주민들은 “군대 안 가고 아이 때 군사놀이만 잘하면 최고사령관이 되는 거냐”고 비아냥거렸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김 위원장이 조직비서 등의 직책으로 당권을 장악했을 때는 군말이 거의 없었지만 갑자기 최고사령관에 임명돼 군을 통솔하게 되자 즉각 거부감을 불러일으켰던 것.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이런 북한 주민들이 갑자기 이름도 모르는 새파란 26세 청년을 장군이라며 후계자로 내세울 경우 어떻게 반응할지도 관심거리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당국에 대한 주민의 불만이 급속히 팽배해질 것으로 보이지만 이 같은 불만이 술렁거림으로 끝날지, 아니면 탈북과 같은 ‘소극적 반항’으로 이어질지, 또는 반정부 활동 같은 ‘적극적 항거’로 이어질지 알 수 없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주목할 것은 세 가지 관전 포인트가 다른 듯해도 사실은 서로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점이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예를 들어 주민 여론이 나빠지면 북한 당국은 ‘심화조’ 사건 같은 간첩단 사건을 조작해 피의 숙청을 벌일 수 있다. 또는 권력층에 신진 세대가 등장하면 신구 갈등이 격화돼 권력투쟁이 벌어지면서 민심이 더욱 이반돼 북한 체제가 급속히 약화될 수도 있다.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span style="font-size:12pt;"> </span></p><p style="line-height:200%; margin-top:0; margin-bottom:0;"><font size="1"><뉴스분석 서울에서 쓰는 평양이야기 - 주성하기자></font></p><p> </p>
신고 0명
게시물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