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펴내 북 실상 알리고 돈도 벌어 탈북자 돕는 엘리트 탈북자 |
---|
1997년 7월 23일 오전 3시, 송옥(41·여·사진)씨는 어머니를 잃었다. 압록강을 건너 북한을 탈출하던 중 어머니 양종옥(당시 62세)씨는 중국 땅을 20여m 남겨 놓고 검은 물속으로 사라졌다. 먼저 강둑에 오른 송씨가 뒤를 돌아봤을 때 어머니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날이 밝아오고 국경 경비대의 수색이 시작되자, 송씨는 어머니의 시신도 찾지 못하고 도망쳐야 했다. 그는 “지금도 그때를 생각하면 가슴이 짓눌리는 것 같다”고 했다. 송씨는 고향을 떠나기 싫어하던 어머니를 설득해 탈북을 시도했다. 같은 해 아버지가 굶어 죽은 충격 때문이었다. 송씨는 “어머니는 식량을 구하기 위해 한 달간 장사를 나갔고, 나는 공부 때문에 장기간 집을 비운 사이에 먹을 것을 구하지 못한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어 “먹고살 수만 있었다면 탈북은 안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씨는 자강도 경제전문 단과대학 출신이다. 북한에서는 ‘엘리트’에 속했다. 하지만 졸업 후에도 취업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6개월치 생활비에 맞먹는 뇌물을 건네지 않으면 일자리를 얻을 수 없었다. 송씨는 중국을 거쳐 2007년 한국에 들어왔다. 북한에는 남동생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송씨의 탈북 때문에 벌목 현장으로 추방당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친척들이 송씨를 ‘집안을 말아먹었다’고 비난한다는 얘기도 들었다. 죄책감에 시달리던 송씨는 “열심히 살아서 통일된 뒤에 남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자”고 결심했다. 2008년 서른아홉의 나이로 연세대 사학과에 입학한 이유다. 그는 매일 오후 10시까지 도서관에 남아 공부했다. 송씨는 “공부하지 않으면 남한을 깊이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근 송씨는 북한의 실상을 알리는 책 『고향마을 살구꽃은 피는데』를 출간했다. 이 책을 직접 들고 다니며 지하철역이나 버스 정류장에서 판다. 수익금은 중국에 있는 탈북 어린이들의 학비로 지원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500여 권을 팔아 100만원 정도 모았다고 한다. 송씨는 22일 “탈북한 이후에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은 계속되고 있지만 탈북한 아이들이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어머니와 동생을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남은 평생 새터민을 돕겠다”고 덧붙였다. 김진경 기자
신고 0명
게시물신고
|
맨날 농촌동원에 교도대 훈련에다 소조경력까지 합하면 먼 고웁를 한시간이 얼마 없구려 대학에서 배운것 하나도 생각도 안나구먼 무슨 엘리트는? 머가 잘한게 있다고? 오히려 현장나와서 많이 배우고 인간 짓 했구먼. 엘리트란 소린 정말 듣기 거북합니다
엘리트라는 말이지요.
-
여기서 태어났다면 탈북자들 모두 엘리트가 되고도 남을
똑똑한 사람들인데 그 사회가 ...
[새책]고향마을 살구꽃은 피는데…北 가족에 보내는 편지글 엮어
“어머니, 온 식구가 떠나던 날 밤 애써 눈물을 참으시던 어머니의 모습을 잊을 수 없습니다. 함께 가자는 저희에게 ‘너희 아버지 산소가 여기 있고, 집이 비지 않느냐’라고 하셨죠? ‘애들만 보내면서 나라고 왜 따라서고 싶은 생각이 없었겠냐 험한 길에 짐이 될까 애써 혼자 남았다’는 말씀을 뒤늦게 들으며 우리 식구는 밤새 울었습니다.”
6년째 북한이탈주민(탈북자)들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북녘 고향으로 보내는 편지’ 모음집을 발간해온 (사)새롭고하나된조국을위한모임(새조위)가 이 중 40편을 책으로 엮어 ‘고향 마을 살구꽃은 피는데’를 최근 출간했다.
이 책은 남한에 온 탈북자들이 북한에 있는 가족, 친척,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탈북자들의 미안한 마음, 전하지 못한 사연, 선뜻 달려가 도와주지 못하는 애절함과 원통함이 절절히 담겨져 있다.
이들 중에는 특히 8살에 헤어진 엄마를, 엄마라 부르는 것이 제일 부러우면서도 어색한 이름이라고 편지에 적은 14살 소년과 해가 바뀔수록 더해만 가는 엄마에 대한 그리움이 뼈를 깍는 것 같아 산중에 올라가 목이 터지게 부르면 행여 신기한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그러기를 몇 번 한다는 어린 소녀도 있었다.
이처럼 탈북자들은 ‘배달되지 않는 편지’를 통해 책의 갈피갈피 마다 자신의 눈물을 삼키며 그리움을 전하는 이야기들로 가득 채우고 있다.
새조위 신미녀 대표는 “처음에는 사무치는 마음을 엿보는 게 무슨 도움이 될까 싶어 망설였고, 그들의 아린 가슴을 드러내게 하는 게 두렵기도 했다”며 “하지만 편지 하나하나를 읽을 때 마다 우리는 뉘우침과 다짐 그리고 이들에게 뭔가 길이 없을까, 길을 만들어 줄 방법이 없을까를 곰곰이 생각하게 되었다”고 회고했다.
신 대표는 이어 “북한의 생활을 너무나 잘 아는 이들, 어떤 고통 속에 사는지 묻기조차 두려워 배달되지 않는 편지에 사연을 적어 보내 기막힘을 달래보려 한다”면서 “편지를 통해 북한이탈주민(탈북자)을 이해하고 북한동포를 알아가는 기회가 되어 남북한 주민이 화합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수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북한이 우리 민족에게 남긴 상처와 시대적 현실이 북한이탈주민(탈북자)들의 편지마다에 그대로 담겨 있다”며 “하루 빨리 이런 현실이 사라질 수 있길 간절히 염원한다”고 말했다.
[이상용 기자]
* 도서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