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북한자료

상세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동지회 1981 2004-11-17 00:53:34
사회정치적 존재인 개개인이 당의 영도밑에 수령을 중심으로 하여 조직사상적으로 결속하면 영생하는 생명력을 지닌 하나의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이룰 수 있다는 주장.

이 주장은 사람의 생명을 「육체적 생명」과 「사회정치적 생명」으로 나누고 후자가 전자보다 귀중하다는 전제하에서 출발한다.

즉 집단주의 생명관에 기초하여 개개인의 육체적 생명은 유한하나 사회정치적 생명은 수령·당·대중의 통일체를 이룰 경우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통해 영생하는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1986년 7월 15일 김정일이 노동당 중앙위 책임일꾼들에게 행한 담화 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제기됐다.

그러나 「사회정치적 생명」에 대해서는 이에 앞서 김정일이 1982년에 발표한 논문 에서도 제시됐으며 1974년에 김정일이 발표했다는 「유일사상 체계확립 10대 원칙」에서도 「정치적 생명」이라는 용어로 언급된 바 있다.

김정일은 1986년의 논문에서 사람들의 육체적 생명은 끝이 있지만 사회정치적 생명체로 결속된 인민대중의 생명은 영원하다면서 『인민대중은 당의 영도 밑에 수령을 중심으로하여 조직사상적으로 결속됨으로써 영생하는 자주적인 생명력을 지닌 하나의 사회정치적 생명체를 이루게 된다』고 주장했다.

즉, 개별적인 사람들은 오직 사회정치적 집단의 한 성원이 되야만 영생하는 사회정치적 생명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회정치적 집단을 형성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정치적 생명체는 많은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회적 집단의 생명활동을 통일적으로 지휘하는 중심이 있어야 하는데 수령이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최고뇌수」로 되고 당이 「중추」로 되어 사회정치적 생명체의 담당자인 일반대중을 지도한다고 주장한다.

즉, 사회정치적 생명체는 수령을 최고뇌수로 하고 당을 중추로 하며 인민대중을 그 담당자로 한 통일체를 의미하며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은 수령을 최고지위에 놓고 당을 중심으로 하여 일반 대중을 이끌어가기 위해 제시된 일종의 통치논리인 셈이다.

북한이 사회정치적 생명체론을 제시한 것은 ①「혁명적 수령관」을 확립하여 일반대중의 수령에 대한 충성심을 확립하고 ②북한체제를 당과 수령중심으로 통일·단결시키며 ③김정일 후계체제를 확고히 하려는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좋아하는 회원 : 49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사회주의 7대명절
다음글
사회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