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뉴스

뉴스

상세
탈북 청소년 대모 조명숙 교감
Korea, Republic o 관리자 926 2008-09-28 22:20:14
연합뉴스 2008-09-28 08:00

탈북 청소년 대안학교 교회 지원으로 설립, 남다른 관심

정부 교육지원 방안 "작은 대안학교 여럿 지원이 효울적"

심규석 기자 = "생활고에 직면한 탈북 청소년들이 북한 가족들에게 보낼 돈 300만원과 생활비 300만원만 벌고 다시 돌아오겠다며 학교를 떠날 때는 가슴이 찢어지는 것 같습니다."

서울 중구의 남산 중턱에 있는 탈북 청소년들의 배움터인 '여명학교' 조명숙(39.여) 교감은 28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갖고 있으면서도 공부를 포기하기 쉬운 처지에 놓여 있는 탈북 청소년들의 어려운 현실을 털어놨다.

이 학교는 탈북자 입국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16∼25세의 탈북 청소년.청년들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의 대안까지 고려해 교회들이 연합해 2004년 9월 설립한 중.고등 과정의 도시형 대안학교.

검정고시에 대비한 일반 교과목 외에 태권도와 댄스, 컴퓨터 등을 가르치는 등 인성.문화적응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그가 탈북자들과 인연을 맺은 것은 1997년 4월.

북한에서 아사자가 속출하던 당시 중국으로 신혼여행을 갔던 그는 식량을 구하러 북.중 국경을 넘은 탈북자들의 비참한 실상을 봤고, 거기서 불구인 중국 동포로부터 "손발이 잘린 나도 외면할 수 없는 사람들인데, 이런 나보다 당신이 더 많이 도울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을 듣고 탈북자들을 도울 결심을 하게 됐다.

결국, 신혼여행 후 다시 짐을 싸 중국으로 가는 결단을 내린 그는 1년 반 동안 100여 명이 넘는 탈북자들을 돕고 이들의 실상을 국내에 알려 북한 동포를 도와주기 위한 '쌀 보내기 운동'을 촉발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런 그가 탈북 청소년 교육으로 방향을 틀게 된 것은 북한체제에 순응하며 살았던 부모들은 아무리 가르쳐도 변화하기 어렵지만 탈북 청소년들은 적응이 비교적 빠를 뿐 아니라 그들의 변화가 부모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탈북 청장년을 대상으로 한 야학인 '자유터학교'를 운영하던 그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설립을 구상했고, 2004년 9월 남서울은혜교회 등의 지원을 받아 여명학교를 개교하는 데 성공했다.

그 뒤 일반 학교생활을 견뎌내지 못했거나 사회에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탈북 청소년들을 매년 30∼40명씩 받아 공부를 시키고 있다.

그러나 어려운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여명학교는 정부가 지원하는 탈북청소년 대안학교인 '한겨레학교'와 달리 비인가 학교이기 때문에 재학생들에 대한 정부의 생활비 지원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관악구에서 남산동으로 학교를 옮긴 올해 초, 예년보다 많은 77명의 탈북 청소년들이 입학했으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지 못한 채 학교를 떠나면서 현재는 43명의 학생만 남아있다.

학교 차원에서 그들의 생활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개근하는 학생들에게 매달 4만원의 교통비를 지급하고 하루 세끼의 음식을 제공하는 데에만 연간 10억원 남짓한 운영비가 들어가는 상황에서 생계비 보조는 꿈도 꾸기 어렵다.

"인가받은 대안학교에 다니면 매달 30여만 원의 생계비를 받을 수 있지만 우리 학교는 비인가이기 때문에 생계비가 끊기는 것은 물론 학력인정도 받지 못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한 그는 "교사로서 제자가 생활고 때문에 학교를 그만둬야 하는 모습을 지켜볼 때는 정말 안타까운 마음"이라며 "정부가 나서서 체제전환기 교육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감은 "한 가정에 심리적 문제가 있는 식구가 1명만 있어도 나머지 식구가 힘겹다"고 예를 든 뒤 "탈북 청소년 30명이 모여 있을 때는 30개의 문제가 생겨도 50명이 모이면 80개의 문제가 발생하고 더 모이면 모일수록 더 많은 문제가 터진다"면서 "큰 규모의 교육시설을 만들어 탈북 청소년들을 교육하는 것보다는 작은 대안학교를 여럿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며 정부의 탈북 청소년 교육지원 방안에 대한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탈북 청소년들이 통일부 산하 정착지원기관인 하나원에서 나오면 "일반 학교에 가거나 한겨레학교에 가야 하는 양자택일의 강요를 받게 된다"면서 "탈북 청소년들도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는데 정부는 제도 개선을 생각하지 않고 그들을 방치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점에서 1개 학교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기보다는 대안학교를 활성화해 통일 이후에 대비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그는 "상처가 있는 탈북 청소년들은 위기관리 능력이 부족하고 감정 조절이 안 돼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수가 있다"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체제전환기 교육시스템을 만들어 탈북 청소년들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면서 우리 사회가 그들을 끌어안고 상처를 치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ks@yna.co.kr
좋아하는 회원 : 0

좋아요
신고 0  게시물신고

댓글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이전글
“캐릭터 반달이는 청소년 새터민”
다음글
송도 국제도시에 가면 일자리가 보인다